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업공고

[일반용역] 뎅기바이러스 mRNA면역후보물질 제형 용역 (재재공고)

  • 등록일2024-08-07
  • 조회수295
  • 분류 생명 > 생물공학,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공고기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 공고시작일
    2024-08-05 00:00
  • 공고마감일
    2024-08-09 00:00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 분석 #생화학 #세포생물학 #면역학
  • 첨부파일

 

 

[[일반용역] 뎅기바이러스 mRNA면역후보물질 제형 용역]


1. 과업명 뎅기바이러스 mRNA면역후보물질 제형

 

2. 과업 기간 계약체결일로부터 2개월

 

3. 사업수행체계


국립보건연구원

(백신연구개발총괄과)

 

과업수행기관

○ 과업정보공유(서열정보 및 옵션)

○ 면역후보물질(mRNA, 4제공

○ 용역 결과보고서 검수

○ 제형 결과 확인

데이터시트 및 최종보고서 검토

○ 용역수행

아래의 조건으로 mRNA(4) encapsulation 수행

Encapsulation Efficiency: >80%

Size: 80-200nm

PDI: <0.28

Endotoxin: <0.5EU/mL

pH: 7.4 ± 0.5

Zeta Potential: ± 10mV

결과물 제공 및 보고서 제출


 

4. 사업 내용


목적 및 필요성

○ 뎅기열은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 국가에서 발생하며전 세계 인구 중 약 40% (25억 명)의 인구가 뎅기 감염증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한국에서 발생한 보고는 아직 없으나 유행 지역에 다녀온 후 유입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연구가 필요함

○ 기존의 뎅기 백신의 문제점은 백신 접종주와 서로 다른 혈청형에 의해서 감염시 증상을 악화시키는 항체의존면역증강(Antibody-dependent enhancement, ADE)으로 중증 질환과 같은 부작용들이 보고되었고현재까지 국내에서 상용화된 뎅기열 예방백신은 없으며 안전성을 확보한 4종의 혈청형에 모두 효과적인 새로운 백신 개발이 필요함

○ 백신연구개발총괄과에서는 내부연구과제를 통해 뎅기 바이러스 백신 후보물질 개발 신규 플랫폼 생산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이를 위해 뎅기 바이러스의 면역반응유도 가능성이 높은 면역후보물질들을 in sillico 예측을 통해 선별함

○ 뎅기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구조단백질이 포함된 mRNA 서열을 혈청형별로 총 4가지 혈청형에 대한 4종의 서열을 합성하였음[(공문)백신연구개발총괄과-1256(2023.11.14.)]합성된 mRNA기반 백신후보물질을 이용하여 안정성 높은 mRNA백신개발을 위해 면역보조제를 첨가한 후 뎅기바이러스에 감수성이 있는 마우스에 접종하여 면역 효능평가를 진행하고자 함.

○ mRNA 백신플랫폼을 이용한 효능평가 시험 과정에서 체내 조직에 효과적인

흡수를 위해 LNP formulation이 필수적이(Jin et al., MolTherMethods ClinDev, 2020 Jul)

므로 mRNA의 LNP 제형 용역을 발주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