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특허동향

[특허동향조사보고서] 유전자편집을 통한 질병 치료기술

  • 등록일2018-07-02
  • 조회수3866
  • 분류특허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07-02
  • 출처
    보건산업기술이전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특허동향#보건산업진흥원#유전자편집#질병치료
  • 첨부파일
    • pdf 보건산업 미래유망기술관련 특허동향조사보고서(유전자편집을통한... (다운로드 30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보건산업 미래유망기술 특허동향 조사 -유전자 편집을 통한 질병치료기술

  

◈목차
 
제1장 개요
1. 기술개요 및 분석목적
2. 분석범위 및 분석방법
2-1. 기술분류 및 기술범위
2-2. 검색식
2-3. 유효특허 선별기준 및 결과
 
제2장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2. 출원인 국적별 동향
3. 발행국별 포트폴리오
4. 주요출원인 분석
4-1. 출원인 네트워크 (공동출원) 분석
4-2. 주요 출원인 (공동출원) TOP10
4-3. 주요 출원인 (개별출원) TOP10
4-4. 출원인의 질적수준(CPP)/시장확보력(PSF) 
4-5. 기간별 주요출원인 및 진입국가 
5. 국가별 특허동향
5-1. 한국특허의 출원동향 및 주요출원인
5-2. 일본특허의 출원동향 및 주요출원인 
5-3. 미국특허의 출원동향 및 주요출원인
5-4. 유럽특허의 출원동향 및 주요출원인 
 
제3장 기술분야별 특허동향 분석
1. 기술분야별 특허출원 동향
1-1. 유전자 가위 기술별 출원동향
1-2. 세부기술별 출원동향
2. 주요출원인별 역점분야
3. 발행국의 기술분야별 특허동향 
3-1. 한국의 기술별 특허동향 및 주요출원인 역점분야 
3-2. 일본의 기술별 특허동향 및 주요출원인 역점분야
3-3. 미국의 기술별 특허동향 및 주요출원인 역점분야
3-4. 유럽의 기술별 특허동향 및 주요출원인 역점분야 
 
제4장 핵심특허 분석
1. 핵심특허 분석 개요
2. 핵심특허 분석
2-1. CRISPR/Cas 분쟁특허 (BROAD INST INC)
2-2. SANGAMO BIOSCIENCE 주요 특허
2-3. TALEN 기술의 주요특허 
 
제5장 종합
1. 특허동향 분석
2. 기술분야별 특허동향 분석
3. 핵심특허 분석
4. 종합 
 
< 별첨 - 요지리스트 >
 
◈본문
 
제 1장 개요
1. 기술개요 및 분석목적
 ○ 본 특허동향 보고서는 보건산업분야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특허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각국 및 주요출원인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객관적인 특허정보를 제공하여 보건산업 분야 우수기술의 경쟁력확보를 위함임
 ○ 바이오기술은 제4차 산업혁명을 촉발한 핵심기술로서 그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최근 바이오 분야의 이슈 분석을 통해 2017년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하였음.1) 본 특허동향보고서는 선정된 미래유망기술 중, 표적유전자를 편집하는 유전자 가위기술의 혁신에 대한 이슈 분석을 통해 이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미래유망기술로 “유전자 편집을 통한 질병치료기술”을 도출하였음
 

1-1.png

○ [유전자 편집을 통한 질병치료기술]은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세포내 유전자를 편집하여 질병의 치료하는 기술’로 정의되며 유전질환의 경우 근본적인 치료책이 없거나 대증요법에 의존하고 있어 유전자 교정(Genome Editing)을 통해 근본적인 치료책을 제시할 수 있으며, 기존 약물 치료방법으로는 큰 효과를 보이기 어려운 난치성질환에 대해 보다 높은 치료효과를 보이는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를 편집하기 위한 도구로서, 편집할 부위(서열)를 인식하여 해당 부위의 유전자를 절단, 발현을 중지시키거나, 서열을 교정 하거나, 새로운 유전자를 삽입하는 등의 반영구적인 유전체의 교정을 가능하게 함

1.png

○ 이러한 유전자 가위 기술은 1세대 ZFN (Zinc Finger Nuclease), 2세대 TALEN (Transcriptor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을 거쳐 3세대 CRISPR (Clustered Regularly-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as9 으로 발전해왔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