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동향
[특허동향조사보고서] 대규모 임상유전체 정보관리기술
- 등록일2018-07-02
- 조회수3425
- 분류특허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07-02
-
출처
보건산업기술이전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특허동향조사보고서#대규모#임상유전체#정보관리분석#보건산업기술이전센터
- 첨부파일
2017년 보건산업미래유망기술 특허동향 조사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 관리기술 ” (Clinico -genomic big data management)
◈목차
제1절 기술개요
1. 기술개요
2. 기술관련 주요 동향
3. 국·내외 연구동향
1) 해외연구동향
2) 국내연구동향
4. 국·내외 정책동향
제2절 특허동향 분석
1. 분석범위
1) 분석대상 특허 검색 DB 및 검색범위
2) 기술분류체계
3) 기술분류기준
4) 검색식 도출 및 검색결과
5) 유효특허 선별 기준 및 결과
6) 특허분석방법
2. 연도별 특허동향
3. 출원인 국적 점유율 현황
4. 주요 시장국 내외국인 특허 출원 현황
5. 기술시장 성장단계 파악
6. 상위 Top 10 출원인 분석
7.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관리기술 관련 분야 주요 키워드 분석
제3절 특허동향 분석 - 상세
1. 국가별 특허 동향 분석
2. 국가별 주요 출원인 분석
제4절 주요출원인 혹은 대표특허 분석
1. 핵심 출원인·특허 분석
제5절 종합
1. 기술 트렌드
2. 특허 출원 동향 분석
3. 출원인 동향 분석
4. 관련 기술 동향 분석
5. 종합
별첨 : 요지리스트
◈ 본문
1. 기술개요
○ 글로벌 보건의료 분야 데이터 분석시장은 2014년~2019년 연평균 25% 이상의 성장률이 예측되며 미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유망분야로 주목 받고 있음. 이러한 의료 트렌드는 단순 치료 중심에서 사전 진단ㆍ예방 및 맞춤형 치료로의 보건의료 패러다임 변화의 시작을 보여주고
있음. 이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를 분석을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관리기술"이 선행되어야 하는 상황임
○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관리기술”의 요소 기술로는 첫째, 임상-유전체 정보 데이터 웨어하 우스를 통한 임상 유전체 정보의 표준화 및 관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DB)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기존의 임상 정보와 유전체 정보의 통합을 위한 프로토콜의 개발 및 궁극적으로 환
자의 임상 정보와 유전체 정보를 통합한 ‘임상-유전체 DB’를 구축하여야 함. 둘째,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의 임상-유전체 정보분석 기술이 필요한데, 대용량의 암 임상-유전체 정보 기반 진단, 치료 및 예후 바이오마커 분석 등을 위한 알고리즘 및 시스템 개발이 필수적임. 또한, 구축된 임상-유전체 DB의 기본적인 분석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과 같은 IT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 분석 파이프라인 및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음
2. 기술관련 주요 동향
○ 2012년 의료데이터의 양은 500PB(Peta Bytes, 100억개의 캐비닛 분량)에서 2020년에는 25,000PB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는 약 10년이 채 되지 않는 기간에 데이터의 양이 약 50배 이상 증가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앞으로의 데이터양이 지금 보다 훨씬 방대한 양이 될 것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음
○ 최근 보건의료 분야 체계는 치료 중심에서 예방 건강관리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에 따라 질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사전에 질병을 예방하도록 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임
○ 의료분야의 빅데이터 활용의 경제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되는데,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빅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직·간접 비용 개선 효과로 미국의 의료비 지출의 6~7%, 약 1,900억 달러(약 234조원)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음. 또 영국 싱크탱크 경제경영연구센터
(CEBR)는 빅데이터 헬스케어로 영국 보건의료 분야의 일자리 4,000여 개가 창출되고, 신사업 창출로 80조원의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음
○ 해외는 이러한 보건의료 빅데이터와 IT-Health의 가능성을 직시하고 다양한 활용을 시도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IBM에서 개발한 슈퍼 컴퓨터 ‘왓슨’을 들 수 있음. 이들은 분석된 빅데이터를 최적의 암치료법 도출에 활용하고 있는데, 의사들의 임상노트, 수첩의 기록 등 방
대한 데이터를 습득하고 의료진들의 교정 작업을 통해 왓슨의 알고리즘을 고도화하고 있음. 미국임상학회(ASCO)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왓슨의 전반적 치료 정확도는 82.6%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음
○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에서도 의료비 절감과 치료효과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 활용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 분당서울대학교 병원에서 2004년 도입한 ‘임상 데이터 웨어하우스’ 이후 10년이 지난 지금 각종 임상데이터를 빠르게 추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
한 차세대 의료정보 시스템으로 진화 시키고 있음
○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인력, IT 인프라 및 전국민 대상 건강보헙 체계등 바이오헬스분야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매우 높은 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므로, 대규모 임상, 유전체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앞으로 의료비용의 절감, 개인 수준의 건강증진부터 공공의료개선 그리고 보건산업의 발전까지 건강경제의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기대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미국의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혈액으로 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임상시험 예정 2022-10-20
- BioINwatch Big team science 구축과 한계 2022-02-17
- BioINwatch Zoonomia 프로젝트, 대규모 포유류 유전체 분석결과 발표 2020-12-09
- BioINwatch WHO, 유망한 4개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서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 2020-04-22
- BioINwatch 아스피린의 암 억제 검증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2016-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