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 및 시사점
- 등록일2022-04-22
- 조회수3363
- 분류특허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3-29
-
출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지식재산연구원#특허권#개방형혁신
- 첨부파일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이 매출액 증대에 미치는 영향
Ⅲ. 특허 기반 개방형 혁신 현황 실태조사
Ⅳ. 정책적 시사점
◈본문
Ⅰ. 연구의 필요성
■ 제품・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급변하면서 기술수명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어, 기업들은 기술개발의 위험과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 아이디어를 활용한 혁신에 주목
○ 빠르게 변하는 시장에 대응하고자, 다수 기업은 외부의 혁신역량까지 적극 활용하여 변화하려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추구
* 기업에게 필요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외부에서 조달하는 한편, 내‧외부 자원의 공유를 통해 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을
창출하는 전략(Chesbrough, 2003)
[표1] 글로벌 기업의 개방형혁신 사례
- 필립스는 설계가 너무 복잡하여 상용화되지 못했던 ‘에어프라이어’를 네덜란드 스타트업 APDS社가 보유한 ‘Rapid Air’ 기술을 통해 상용화에 성공
- 소비재 거대기업 유니레버(Unilever)사는 홈페이지에 자사의 기술적 애로사항을 공개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파트너를 모집하는 외부협업을 적극적으로 시행- P&G는 전동칫솔 개발을 위해 일본의 외부업체로부터 기술을 적극 수렴하여 신제품 출시를 5년에서 1년으로 앞당김 |
○ 더욱이 최근 디지털전환 및 에너지전환, 기후위기 및 코로나위기 상황 속에서 기업 자체적으로 모든 기술적
역량을 구비하기에 한계가 있어 개방형혁신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
- 선진국 및 글로벌 기업은 코로나 19 등으로 인한 경제위기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내・외부 혁신역량을
적극 활용 中*
* 코로나 19 이후 개방형 혁신의 효과성을 경험한 글로벌 기업에 대해, 빨라진 혁신의 속도를 확인한 투자자들이
개방형 혁신을 더욱 요구(IBM 짐 화이트허스트 사장, ’21.7)
- 국내 기업에서도 최근 제약・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 중
* 한정된 역량과 리소스 상황에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신약개발 과정에 생산성과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서 개방형혁신을 선호
■ 우리 정부도 개방형혁신 활성화를 위한 다수의 정책을 추진 중*
* (중기부) 대・중소기업, 대학, 연구소 간 개방형 혁신・사업화 성공체계로 전환(’19.1.23)
(산업부) 시장중심의 자율적・개방적 산업R&D 혁신방안 발표(’20.9.8)
(과기부) 지역산업연계 대학 개방형 혁신연구실(Open-Lab) 육성 지원(’21.7.15
■ 본 보고서는 국내 기업의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 현황을 분석하여 아이디어경제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 소수의 선별된 지식을 아이디어화했던 ‘지식경제시대’를 지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이 사장(死藏)되지 않게
아이디어화하는 것이 중요한 ‘아이디어경제시대’가 가속화 되고 있음
○ (분석 1)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이 매출액 증대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데이터 활용
- 연도별 개방형혁신 참여현황 변화 분석
- 특허권 보유 및 개방형혁신 참여의 매출액 증대효과 분석
○ (분석 2)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 현황 실태조사 및 심층분석
※ 발명진흥회 회원사 대상 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 개방형혁신 참여 목적 및 특허권 보유의 의미 조사
- 개방형혁신에서 특허권의 기여도 분석
Ⅱ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이 매출액 증대에 미치는 영향
(1) 분석 개요
■ (분석 데이터) 통계청이 제공하는 기업활동조사(’06년~’18년)를 활용
○ (조사대상) 국내 회사법인 중 상용근로자 50인 이상이면서 자본금 3억원 이상인 법인 (연평균 11,477개社)
○ (조사내용) 매출액, 자본총액, 종업원수, 지재권 보유건수, 연구개발비 등
■ (분석 방법) ① 외부 R&D 지출액 규모를 개방형혁신활동 참여 정도로 간주하고 ② 특허권 보유와 개방형혁신이 기업의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패널회귀분석 실시
■ 생산액(Y)이 자본(K), 노동(L), 무형자산(R)의 지수함수라 가정하는 콥-더글라스 생산함수에 로그를 취해
패널회귀방정식을 도출
(2) 주요 분석 결과
① 특허권 보유 여부와 기업규모에 따른 개방형혁신 참여 현황
특허를 보유한 기업이 보유하지 않은 기업 대비 개방형혁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나, 참여율에 대한 변화율도 큰 것으로 나타남
○ 연평균 참여율(’06~’18) : 특허보유 기업 10.3% > 비보유 기업 2.5%
○ 특허보유 기업의 개방형혁신 참여율은 글로벌 금융위기시 급락(18.0%(’09) → 7.5%(’10))했다가, ’16년 이후 소폭 반등(4.6%(’16) → 8.4%(’18))
- 반면, 특허비보유 기업의 개방형혁신 참여율은 ’0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4.4%(’06) → 2.0%(’18)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