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특허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년, 지식재산 현안 분석

  • 등록일2023-04-25
  • 조회수2192
  • 분류특허동향 > 기타 > 기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년, 지식재산 현안 분석


◈ 목차

들어가며

비우호국에 대한 러시아의 지식재산권 제한 조치

러시아에 대한 주요국의 제재와 대응

러시아의 조치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본문

요약

작성자 전정화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법제도연구실부연구위원/법학박사

jj99@kiip.re.kr

 

○ 2022년 3러시아는 자국에 비우호적인 국가의 지식재산권을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의안을 발표하였으며국제사회 역시 이에 대응하여 경제무역 제재 등의 결정을 지속해오고 있음

○ 이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1년이 지나고 있는 시점에서러시아와 국제사회 사이의 지식재산권과 관련한 주요한 동향을 살피고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는 한편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들어가며

 

배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과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

• 2022년 2월 24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특별군사작전의 개시명령을 선언하며 우크라이나를 침공, 1년여가 지난 현 시점에도 전쟁은 끝나지 않고 지속되고 있음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미국은 독자적인 대러 제재를 시작하였고 이후 EU, G7, 동맹국 및 파트너국 등 37개국이 이에 동참대규모의 수출통제 및 제재가 러시아에 부과1)되었으며주요 기업 역시 러시아에 대한 보이콧에 동참*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러시아와 거래하던 주요 에너지 기업(-BP, 美 -ExxonMobil )들이 지분의 매각이나 사업의 철수의사를 밝힌 바 있음주요 에너지 기업의 경영진들은 러시아 내에서 계속 사업을 유지할 경우자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제재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며러시아에 대해 전쟁자금을 지원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함2)

•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제재 조치에 반발제재에 동참하는 국가들을 비우호국으로 지정하는 한편*비우호국의 지식재산을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령**을 발표하는 등국제사회의 무역 특권 정지에 대응한 조치를 시작

* 노르웨이뉴질랜드대만대한민국리히텐슈타인모나코몬테네그로미국미크로네시아북마케도니아산마리노싱가포르아이슬란드안도라알바니아영국유럽연합 회원국(27개국), 우크라이나일본스위스캐나다호주

** 2022년 6월 3일자러시아 연방정부 법령 제299특허 소유자의 동의 없이 발명실용신안 또는 산업디자인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때의 특허소유자에게 지급되는 보상금액 및 지불절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2항에 대한 개정」 

• 러시아는 지식재산권 무단 사용에 관한 최초의 결의안 이후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재산권을 통제할 수 있는 결의안들을 계속해서 발표하는 등비우호국 및 해당 국민들의 지식재산권을 실질적으로 침해하고 있음

 

○ 경제적 무기로서 지식재산권의 통제

• 경제적 무기로서 지식재산권을 제재통제하는 것은 전쟁 상황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특히 특허권의 제한은 적의 경제력을 약화시키는 전술적 무기로 사용되고 있음

1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적국의 특허를 압수하는 것과 관련된 제재가 채택된 바 있음. 1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를 위한 베르사유 협약을 통하여 미국은 4,000건이 넘은 적국의 특허를 압수하였음이 중에는 독일 바이엘가 미국에 출원한 아스피린의 상표권도 포함되었으며전쟁 후 바이엘가 소유했던 아스피린 상표는 독일의 전쟁배상금의 일환으로 미국프랑스영국러시아에 양도된 바 있음3)

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미국은 적국이 개발한 기술을 미국의 산업체에 제공하기 위하여 적국(점령국)의 국민들이 미국의 특허청에 제출한 약 3,000여건의 특허를 압류할 것을 요구하는 Alien Property Custodian(APC)를 발행한 바 있음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