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동향
국가 전략기술분야 글로벌 상위 논문·특허 분석
- 등록일2023-06-12
- 조회수2795
- 분류특허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6-0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전략기술분야 #논문·특허#글로벌 상위
국가 전략기술분야 글로벌 상위 논문·특허 분석
R&D Brief 2023-2호
◈ 목차
1 개 요
2 분석 방법 및 절차
3 주요 분석 결과
4 결론
◈본문
☞ 주요 국가전략기술별 글로벌 상위 논문·특허 현황 분석 및 연구역량이 높은 상위 연구 기관과의 국제협력 등을 위한 정책적 함의 도출
☞ 세부 중점기술별 한국 및 주요국의 논문, 특허에 대한 키워드 분석으로 지난 10년간 발표된 논문 건수와 피인용 횟수, 특허 건수를 고려하여 동향 분석 및 글로벌 상위 연구기관 도출
☞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 중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바이오, 수소, 양자 등 8개 분야의 세부 중점기술 27개 분석
※ 중점기술 도출 원칙: 1) 글로벌 산업경쟁력 및 공급망 內 높은 중요성, 2) 신산업 파급효과 및 외교·안보적 가치, 3) 임무지향 기술개발 및 5~10년內 성과창출 가능성 등
○ (분석 방법) Dimensions 플랫폼을 활용하여 전 세계 논문 및 특허 데이터를 분석하고 연구 생산성(논문 수, 인용횟수, 특허 수)을 기준으로 글로벌 상위 연구기관을 도출함
※ 유사 사례 : 네이처 인덱스는 2016년부터 세계적으로 우수한 학술지를 선정하고, 저자의 소속기관, 소속국가, 공동 저자의 기여도 등을 분석해 500위까지 순위를 집계하고 있음
- Dimensions 플랫폼은 광범위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종래의 키워드 분석의 취약점을 극복하고 문장 단위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할 수 있어 깊이 있고 정확한 매칭이 가능함
※ 주요 국가의 펀딩기관과 연계한 연구비 정보와 연구자 개인의 펀딩 리스트, 연구자 개인의 심층 프로파일(네트워크, 데이터세트 등)을 기반으로 전문가 추천 및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음
○ (분석 절차) 논문 및 특허 데이터 수집 →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논문 및 특허의 제목, 저자, 출판년도, 인용횟수 등의 정보 추출) → 데이터 분석(논문 수, 인용횟수, 특허 수 기반) → 결과 도출
* 주요 분석 결과 내 국가전략 기술별 상위 연구기관 순서는 순위와 무관하며 분석 기준에 따라 결과 다를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