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일본의 환경산업 전망
- 등록일2003-06-10
- 조회수709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3-06-10
-
출처
국정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환경산업
일본의 환경산업 전망
일본 환경성은 2000년, 2010년, 2020년 시점의 일본내 환경산업의 시장 및 고용 규모를 추계한 「환경산업
시장·고용 규모 현황 및 미래예측 보고서」를 발표(5.29)
* 보고서 주요 내용
< 환경산업 시장·고용 규모 추계 방법 >
- 이번 추계는 OECD의 환경상품·서비스산업(99년) 분류를 토대로 2000년의 시장규모를 바탕으로 하여
과거 추세로터 2010년 및 2020년의 시장규모를 산출했음.
- 고용부문에서는 각종 자료로부터 각 업계의 노동생산성을 추계하고, 각각의 시장규모에 노동생산성의
역수를 곱하여 추계했음.
< 환경산업 시장·고용 규모 추계 결과 >
- 현재·미래의 환경산업 시장 및 고용 규모가 큰 사업분야로는
일반·산업 폐기물 처리, 중간처리, 수집·운반 등 폐기물 처리 서비스 제공과 함께 각종 중고제품
유통, 자원회수 등 재생소재 자원의 효율적 이용 분야임.
- 향후 환경산업 시장 및 고용 규모가 현저하게 증가 또는 감소할 분야와 관련
광촉매·배기가스 처리장치 등 대기오염방지용 장치와 오염예방용 자재 제조. 환경보고서·환경감사·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환경규격(ISO 14000) 취득 컨설팅 등 교육·훈련 및 정보서비스 제공분야 등은
증가가 예상되나
방음·방진공사 등 소음·진동 방지 설비의 건설 및 기기 설치부문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2000년 조사와 비교했을 경우 현저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로는
대기오염 방지장치와 오염방지용 자재 제조분야(전회 2010년 3,600억엔, 4,286명 → 금회 2010년 3조
1,660억엔, 3만 9.306명)와 교육·훈련·서비스제공 분야(동 348억엔, 806명 → 동 1,341억엔, 5,548
명)등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토양·수질정화용 장치와 오염방지용 자재 제조(전회 2,408억엔, 2,962명 → 금회 855억엔, 785명) 및
소음·진동방지 분야(동 2,599억엔, 2,337명 → 809억엔, 536명)등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됨.
(http://www.nis.go.kr/)
-
이전글
- EU, 생물연료 사용목표 합의
-
다음글
- 한국의 과학기술 : 발전과 과제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