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특집: 유럽연합 FP6 (4)

  • 등록일2002-11-28
  • 조회수373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2-11-28
  • 출처
    http://europa.eu.int
  • 원문링크
  • 키워드
    #유럽연합
 특집: 유럽연합 FP6 (4)
 

□ 연구개발활동의 집중과 통합
 
1) 7개 중점연구분야: 특집 9회부터 상술

2) 크로스커팅 연구사업

7개 중점연구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연구개발활동을 보완하기 위한 사업이다.
 
ᄋ 정책 지원 연구

유럽연합의 각종 정책 입안 및 시행, 보완과정에 필요한 과학기술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사업분야다. 특히 유럽연합의 공동농업정책, 공동어업정책, 환경, 에너지, 교통, 보건, 소비자보호 정책 등이 주요 연구지원 대상이다. 이 분야 연구의 주로 특정 목적의 프로젝트(Specific Targeted Projects)와 조정사업(Coordination Actions)을 통해 이루어질 예정이며, 필요할 경우 통합프로젝트(Integrated Projects)와 우수역량네트워크(Networks of Excellence) 사업도 추진된다.
 
ᄋ 신과학기술분야(NEST)

이 사업분야는 FP6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새로운 항목이다.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힘든 새로운 분야의 발전과 새로운 과학기술 문제의 대두, 최첨단 분야(특히 복합적, 학제적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수요에 유연하면서도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비전통적인(unconventional) 연구, 공상같은(visionary) 연구도 지원대상에 포함된다. 또 유연성이 가장 특징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에게는 연구의 자유가 최대한 부여된다.
 
ᄋ 특정 중소기업지원사업

유럽의 산업경쟁력 강화, 기업 및 혁신정책 지원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이 사업은 유럽의 중소기업들이 전통/첨단분야에서 기술능력을 제고하고 유럽과 세계를 무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의 7개 중점연구분야 프로젝트 참여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 연구역량이 미흡한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연구소나 대학 등 다른 연구수행주체에 연구활동을 위탁하는 공동연구 및 협력연구(CRAFT: Collective Research & Cooperative Research)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가령, 7개 중점연구분야 예산 가운데 최소한 15%가 중소기업에 할당되어야 한다.
 
ᄋ 특정 국제협력사업

국제연구협력을 촉진하고 강화하기 위한 사업분야다. 이 사업과 별도로 제3국은 7개 중점연구분야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ᄋ 합동연구센터(JRC) 사업

유럽연합의 정책 입안과 보완작업에 필요한 연구개발을 수행해 온 합동연구센터의 독자적, 고객지향적 활동을 지원한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