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독일의 의공학 분야 동향(3)
- 등록일2001-09-06
- 조회수841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1-09-06
-
출처
Press Release of BMBF
- 원문링크
-
키워드
#??? ???
독일의 의공학 분야 동향(3)
독일의 연방 교육연구부(BMBF)는 8월 30일 미래의 대학이니셔티브(ZIH: Zukunftsinitiative Hochschule) 사업의 하나로 뤼벡/킬의 의공학우수역량센터(Kompetenz-Zentrum fuer Medizintechnik Luebeck/Kiel)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교육연구부는 그 동안 국민복지와 건강을 위한 보건분야의 연구개발진흥을 과학기술정책의 핵심적인 과제의 하나로 인식하고 생명공학과 의공학(medical technology)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왔는데, 이번 조치도 그 일환으로 이뤄졌다.
의학과 공학의 통합분야인 의공학은 이미 진단과 치료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분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매년 시장규모도 급속히 커지고 있다.
이번 교육연구부의 발표를 계기로 앞으로 10차례에 걸쳐 소개하는 독일의 의공학 분야 동향 가운데 3번째로 독일 전기전자정보공학협회(VDE: Verband der Elektrotechnik Elektronik Informationstechnik)과 독일의용생체공학회(DGBMT: Die Deutsche Gesellschaft fuer Bio-medizinische Technik)의 통합에 대한 내용이다.
□ VDE와 독일의용생체공학회의 통합(1): 개요
지난 4월 26일 3만4000여 명의 회원을 가진 독일 최대의 전기전자정보공학협회 VDE가 600여 명의 회원을 가진 독일의공학회를 흡수 통합함으로써 독일의공학회는 VDE 내의 5개 전문협회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게 됐다. 이러한 조직적인 통합은 전자공학, 정보공학이 의학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더욱 커지고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두 협회는 의사와 엔지니어의 긴밀한 협력이 의료기기와 의료기술의 발전,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의료서비스의 향상을 촉진할 것이라고 보고 조직통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조직통합을 통해 무엇보다 엔지니어와 자연과학자, 의사의 협력을 강화하고 의용생체공학 내의 지식이전을 효율화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게 양측의 계획이다.
프리드리히 알트호프(Friedrich D. Althoff) VDE 사무총장은 이번 통합은 의공학 발전에 중대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이 중요한 미래첨단분야에서 기술이전과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독일의 위상을 확고히 할 기반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독일의용생체공학회 아르민 볼츠(Armin Bolz) 교수도 전자공학과 정보공학, 그리고 마이크로기술은 최근 의학과 생명과학 여러 분야에서 혁명적인 발전을 이끌어 왔다고 밝히고 첨단의료기기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은 의술과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통합의 배경을 설명했다.
VDE 내로 통합된 DGBMT는 산하에 17개 전문소그룹을 두고 타 전문협회와 프로젝트 중심의 학제적 의용생체공학 연구를 다루게 된다. 소속 전문소그룹은 다음과 같다: (1) 의학용 초음파 (2) 내시경 (3) 생자기 및 자기자극 (4) 의학정보공학 (5) 생체재료 (6) 생체기계 (7) 고주파 및 레이저기술 (8) 기능적 자극 (9) 마이크로전자공학 (10) 의학용 NMR (11) 전자기파와 환경 (12) 환자감시방법 (13) 마이크로시스템기술 (14) 병원의공학 (15) 의학용 자동화기술(Automed) (16) 원격의료 (17) 세포 및 조직기술
한편 지금까지 VDE 내에서는 정보공학회(ITG: Informationstechnische Gesellschaft), VDE/VDI 마이크로전자공학 및 정밀공학회(GMM: Gesellschaft Mikroelektronik, Mikro- und Feinwerktechnik)가 바이오 칩을 이용한 원격의료, 최소절개술용 마이크로시스템기술 등을 다뤄왔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중국 생명공학 육성정책 및 현황
-
다음글
- 독일의 의공학 분야 동향(2)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