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독일 나노바이오기술 진흥정책
- 등록일2001-06-26
- 조회수1144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1-06-26
-
출처
Press Release of BMBF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바이오기술 #독일
독일 나노바이오기술 진흥정책
독일 나노바이오기술 진흥정책(1)
독일 연방 교육연구부(BMBF)는 지난 26일 새로운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진흥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차 연구프로젝트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진흥정책과 선정된 연구과제를 2차례에 걸쳐 나누어 소개한다.
1회: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진흥프로그램
2회: 선정 연구과제
2회: 선정 연구과제
□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진흥프로그램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는 나노기술과 생명공학 사이의 중간영역으로서 이 두 핵심기술을 잇는 교량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종합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교육연구부의 진흥프로그램은 이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발전을 위해 물리학, 생물학, 화학, 재료공학 등 관련 분야의 학제적 연구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앞으로 6년 동안 총 1억 마르크(약 580억원)를 투입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 발표된 1차 연구프로젝트는 모두 21건으로 지원규모는 4000만 마르크이다. 교육연구부는 앞으로 계속 정기적인 연구과제 공모를 통해 연구과제가 선정되는대로 추가로 연구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볼프-미카엘 카텐후젠(Wolf-Michael Catenhusen) 교육연구부 차관은 이날 1차 선정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얼마 전 컨설팅사 Ernst & Young이 발표한 유럽생명과학보고서에서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가 21세기의 핵심기술 가운데 하나로 규정됐던 사실을 상기시키고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는 나노전자공학, 나노재료, 분자차원의 나노기술을 생명공학 및 유전공학과 결합하고 통합하는 질적으로 새로운 핵심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카텐후젠 차관은 또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응용분야가 광범해 경제적, 의학적, 기술적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교육연구부는 이번 연구과제 선정을 계기로 본격화 되는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독일이 기존의 뛰어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에서 미국, 일본과 함께 세계적인 선도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미 지난 5월 선정된 Bioprofile공모에서 자브뤽켄 지역과 뮌스터 지역은 처음으로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연구센터 구축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지원프로그램의 주요 분야에는 가령 진단 및 치료용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것과 이것을 종양제거 또는 초소형 전자기기용 부품 생산에 활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특히 신체 거부반응 등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초소형 생의학 기기의 개발은 세계적으로 개발경쟁이 뜨거운 분야다. 그리고 특정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나노입자 개발, 감염 후 항체형성과정을 알려줄 바이오센서의 개발, 나노탐침을 이용한 암과 심장병, 순환계질환 등에 대한 조기경보 및 치료체계 개발 등도 지원분야에 속하는 것들이다. 장기적으로는 분자전자공학 및 DNA컴퓨터용 부품 개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카텐후젠 차관은 또 나노기술과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에 대한 얘기는 이미 70년대 말부터 미래학자들에 의해 제기됐다며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를 지원할 때 미리 윤리적, 법적, 사회적 영향을 충분히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일 나노바이오기술 진흥정책(2)
독일 연방 교육연구부(BMBF)는 지난 26일 새로운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진흥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차 연구프로젝트 21개를 선정, 발표했다.
□ 선정 연구과제
1. 뇌종양 치료를 위한 나노입자 기반 기능체계 (프랑크푸르트대학)
2. 자연적, 인공적 바이오튜브 생산을 위한 살아있는 세포 활용방안 (훔볼트대학)
3. 암세포 유형별 열화학치료를 위한 MNC 연구 (MagForce Applications사)
4. 금속/반도체 나노구조에 기반한 생화학적 합성 (Lifebits사)
5. 개별분자 힘분석(분광기)을 통한 박테리아 rRNA규명 (Nanotype사)
6. GMI 센서를 이용한 거대분자 분석 (뒤셀도르프 대학)
7. NANOCYTES 연구 (프라운호퍼 경계면 및 생물공정기술연구소)
8. NANOMAP 연구 (튀빙엔대학)
9. NANOCUT 연구 (JenLab사)
10. 박테리아 막단백질에 근거한 나노센서 (드레스덴공대)
11. 휴대용 아분자결합 분석기기 개발을 위한 나노 차원의 전기측정법 (EBiochip Systems사)
12. 고속 고감도 Differential Multiparameter Nanocalorimeter 개발 (막스플랑크 생물리학적 화학연구소)
13. 박테리오로도스핀에 기반한 다기능 광학 안전시스템 (마르부르크대학)
14. Magnetofection 연구 (뮌헨공대)
15. 나노기능막을 이용한 관상형 섬유막 선택성 강화 방안 (프라운호퍼 경계면 및 생물공정기술연구소)
16. 통합적 세포기반 고속스크리닝시스템 (막스플랑크 고분자연구소)
17. 분자적 차원의 단백질 조작을 위한 생화학적 핀셋 (마르부르크대학)
18. blood-liquor barrier(나노구멍)상의 대사물질 및 약물이동 스크리닝을 위한 고속 분석법 (뮌스터대학)
19. 유기체 분석기기용 multiparameter나노센서 (기센대학)
20.수송체, 센서, 나노반응기로서의 다목적 인공세포 (막스플랑크 콜로이드 및 경계면연구소)
21. 친화성시험용 나노캡슐 효소크리스탈 (Biognostic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해외정보사업실 해외과학기술동향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국가연구개발체제 및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
다음글
- 독일 프로테옴연구 본격화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