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산업기술정책 및 기술개발동향 조사분석

  • 등록일2005-11-03
  • 조회수781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5-11-03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정책#기술개발동향
  • 첨부파일

산업기술정책 및 기술개발동향 조사분석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전략기획실에서는 전략보고서인 ‘산업기술정책 및 기술개발동향 조사분석’을 10월 발간하였습니다.

○ 동향 조사 
   1. 일본의 국가전략기술 현황과 도출과정(문부과학성)
   2. EU Framework Program의 기술개발 동향
   3. 일본의 대형 연구시설 · 장비 현황 및 과제 
 
○ 이슈분석 
   4. 우리나라의 미국등록특허 경쟁력 분석을 통한 기술력조사 
 
이번 보고서에 담긴 내용 중 ‘일본의 국가전략기술 현황과 도출과정’은 지난 8월에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미래 국가유망기술 21’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외국의 첨단 기술기획 방법론에 대한 참고자료로서의 의의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지난 ‘03년부터 ’04년에 걸쳐 향후 30년간의 주요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기술예측조사를 실시하여 127개 분야를 도출하고, 여기서 다시 47개 국가 기간기술 후보분야를 압축한 후, 최종적으로 국가가 전략적으로 추진해야할 ‘10대 기간기술’을 올 1월 선정,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일본의 국가전략기술 현황과 도출과정’에 대한 보고서는 일본의 이러한 국가전략기술 도출 과정 중 47개 국가 기간기술 후보분야에 대한 세부적인 도출과정과 내용 및 특징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으로,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 등 일본의 국가기간기술 선정기준과 후보 기술군에 대한 상세한 현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EU Framework Program의 기술개발 동향’에 대한 자료는 일본 NEDO 기술개발기구(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의 『 유럽 Framework Program의 산업기술 동향조사 』('04. 03) 보고서 내용을 요약·정리한 것입니다. EU의 ‘Framework Programme’은 EU의 대표적인 연구개발 프로그램으로 주로 경쟁전 단계의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바이오 기술, 정보통신기술, 나노기술, 신제조기법 및 장치 분야’를 주요 연구개발 과제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98~’06‘까지 계획된 제 5차 및 제 6차 Framework Program을 통해 개발 중인 주요 기술개발 프로젝트와 기술개발 내용을 4개 중점 기술분야별로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일본의 대형 연구시설 · 장비 현황 및 과제’는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의 보고서 『 대형 연구시설 · 설비 현황과 향후 과제 』('04. 06)를 정리한 것으로, NISTEP 자체 전문가 네트워크 1,629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의 초대형 연구시설 및 장비에 대한 산업계의 활용 수요가 50% 정도로 비교적 높은 편인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