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해외 주요 BT 정책의 최신 동향
- 등록일2008-10-07
- 조회수2307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8-10-0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해외 BT 정책#BT 정책
- 첨부파일
해외 주요 BT 정책의 최신 동향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의 BT관련 정책과 전략 등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집하여 주요내용을 요약 정리하였음 |
1. 미국 국가정보위원회, "Global Trends 2025" 보고서 발표 예정
○ 미래 국제환경을 전망하고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6대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y)을 제안 (‘08.12 발표 예정)
○ 인구의 노령화,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 등이 경제발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6대 와해성 기술
① Biogerontechnology : 생명연장 및 건강한 삶, 노령화 관련 기술
② Biofuels and Bio-Based Chemicals
③ Energy Storage Materials, ④ Clean Coal Technologies,
⑤ Robotics, ⑥ Internet Pervasiveness
* 출처 : http://www.dni.gov/nic/confreports_disruptive_tech.html
2. 일본, 바이오매스타운 추진
○ 2010년까지 바이오매스 타운을 300개 지역에 조성 목표 설정
○ 바이오매스 발생에서 이용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인 프로세스로 연결된 종합적인 이용ㆍ활용 시스템 구축
○ 지역별로 바이오매스 종류와 이용방법, 정책수요가 다양하므로 지역상황에 맞게 조성
[일본 바이오매스 종합전략]
○ 목표 : 지구온난화 방지, 순환형 사회구축, 전략산업 육성, 농어촌 활성화
○ 구체적 추진 내용
- 교토의정서 목표달성
- 식품폐기물 발생 억제, 재생이용 등을 통해 순환형 사회 구축.
- 바이오매스 에너지 및 제품의 이용, 활용에 관한 기술 및 제품개발 등
- 농어업의 자연순환기능 유지 및 증진
- 바이오매스 타운 구축 추진 |
* 출처 : http://www.kanto.meti.go.jp/seisaku/ondanka/080806kaigi7_report_siryou.html
3. 미국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맞춤형 의료를 위한 최우선과제 권고
○ 미국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맞춤형 의료를 위한 최우선과제(Priorities for Personalized Medicine)’ 보고서를 발표(9.15)
① 최우선과제 영역 1 : 기술개발
- 맞춤형 의료 R&D 제고를 위한 전략적ㆍ장기적 계획 개발
② 최우선과제 영역 2 : 규제
- FDA는 유전체 기반의 분자진단 규제에 대해 보다 투명하고 체계적인 접근 필요. ‘Critical Path Initiative’ 상에서 맞춤형 의료발전에 필수적인 연구활동 지원을 위한 기금 조성
③ 최우선과제 영역 3 : 의료비 변제
- 공공과 민간 보험업자는 유전체 기반의 분자진단에 대한 보상범위와 지급률 결정
④ 범부처 업무조정
- HHS는 장관실 산하에 맞춤형 의료와 관련된 모든 활동을 조정하는 ‘맞춤형 의료 조정 사무국
(Personalized Medicine Coordination Office)’을 설립
* 출처 : http://www.ostp.gov/cs/pcast
4. 중국, 전염성 질환 및 신약개발 분야에 막대한 연구비 투입
○ 전염성 질환연구에 3십억 위안(4.4억 달러), 신약개발 분야에 60억 위안(8.8억 달러) 투입 계획
- 전염성 질환 대상 : HIV/AIDS, 간염 B, 간염 C, 결핵
- 신약개발 연구 대상 : 암, 심장질환, 신경ㆍ퇴행성 질환, 당뇨, 정신질환 등 10개 질환(9.11 접수마감)
※ 신약개발 인프라인 GLP, GCL 구축에 중점
※ 전염성 질환은 8.31 공모완료, 신약개발 공모는 9.11 마감, 9월 말 발표예정
* 출처 :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55/n7210
5. 캐나다 산업부, 중점 과학기술 발표
○ 캐나다 산업부장관은 과학기술혁신위원회가 권고한 4대 중점 과학기술을 발표
① 보건 및 관련 생명과학기술
- 재생의료, 신경과학, 노인건강(실버산업 관련 과학기술), 생물의공학, 의료기술
② 환경과학기술
- 수자원(건강, 에너지, 보안), 탄화수소(hydrocarbon) 연료추출, 공정, 활용을 위한 세정방법(탄화수소 연료의 사용 저감을 포함)
③ 천연자원 및 에너지 기술
- Oil sand 에너지 생산, 북극관리(자원생산, 환경변화 관리 등), 바이오연료, 연료전지, 핵에너지
④ 정보통신기술
- New media, 애니메이션/게임, 무선 네트워크/서비스,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통신장비
※ 자료 분석자 : 생명(연) 혁신정책실 김정석 팀장 (042-860-4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