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R&D 투자 동태모형을 통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심층분석

  • 등록일2009-07-16
  • 조회수1044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5-21
  • 출처
    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연구개발사업#유전체연구#유전체 R&D 동태 모형
  • 첨부파일
R&D 투자 동태모형을 통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심층분석
 
- 유전체연구 사업군을 중심으로 -
 
 
[목 차]
 
● 발 간 사
● 요 약
Ⅰ. 서 론
Ⅱ. 유전체 R&D 동태 모형 분석
Ⅲ. 유전체 R&D 동태 모형 Simulation 및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요 약]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선형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태적이고 장기적인 분석을 위해 시스템 다이나믹스 기법을 이용한R&D 투자모형 수립 필요

□ 연구방법
 ○ 유전체 R&D 투자 모형의 문제를 정의하고, 구성변수를 선정하여 인과지도를 작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 모형을 구성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음
 ○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모형타당성 검증 후 수정사항을 반영한 모형 활용

□ 유전체 R&D 투자 시스템 정의 및 변수 설정
 ○ 유전체 연구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정의하고 관련 구성변수를 정리
 
□ 유전체 R&D 투자 인과지도 및 정량적 모형
 ○ 유전체 연구 사업군 평가의 인과지도 중 주요 뼈대가 되는 정부 R&D 투자, 유전체 서열분석, 유전체 기능분석, 논문 등으로 인과지도 및 정량적 모형 작성

□ 유전체 R&D 동태 모형 Simulation 결과 및 분석
 ○ 시뮬레이션 결과의 적합성 검토 결과 분석의 전체적인 추이파악에는 문제가 없음
 ○ 현재의 유전체 서열분석 예산비중을 줄이고 유전체 기능분석의 예산비중을 늘리는 것이 SCI논문수를 최적화할 수 있는 투자방향이라는 결과 도출

□ 결론 및 시사점
 ○ 시스템 다이나믹스 기법을 활용한 유전체 R&D 투자 모형을 정책판단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모형을 보완하여 많은 정책변수들을 검토할 수 있음
 ○ 예산과 SCI논문 간의 피드백 관계를 모형에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지만, 논문 성과를 최적화 하기 위한 투자 방향을 도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