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

  • 등록일2009-08-07
  • 조회수1487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8-07
  • 출처
    과학기술정책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폐자원#바이오매스#바이오연료
  • 첨부파일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
 
 
1. 추진 배경 및 목표

 ○ 국내 에너지 총 공급량(2억3천7백만TOE) 대비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2.37%로 매우 낮음(2007년 기준)
 
 ○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는 저렴한 비용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 조기 성과창출이 가능하고,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의 유력한 수단
  * 폐자원 : 가연성(폐종이, 폐비닐, 폐플라스틱, 폐목재 등), 유기성(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가축분뇨 등), 소각여열, 쓰레기매립가스 등
  ** 바이오매스 : 광합성으로 생산되는 동식물의 유기체(BIO) 함량(Mass)으로서, 유기성폐자원, 임목(순환목, 벌채목, 간벌목) 초본류(유채, 옥수수, 볏짚), 해조류 등이 있음
   - 가용 잠재량이 풍부한 폐자원, 산림·농어업 바이오매스 등 국내 부존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약 39억TOE로 추정)
  ※ 미국에서도 바이오연료를 저탄소 경제의 ‘6대 핵심분야’ 중의 하나로 제시할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08.9)
 
 ○ ‘13년까지의 국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율 3.78% 달성을 위해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로  83.9%에 해당하는 3.17%를 실현
   - '20년에 4.16%, '30년에 7.12%를 달성
 
 ○ “녹색뉴딜사업”과 “신성장동력사업”으로 중점 추진
   - ‘13년까지 신규일자리 약 14만3천개, ’20년까지 약 33만개 창출
   - ‘20년까지 에너지화 관련기술을 선진국의 95%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30년에는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최첨단 글로벌 기술력 확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