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문부과학성 생명과학 관계예산 2010년도 개산요구 개요
- 등록일2009-10-05
- 조회수867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9-24
-
출처
과학기술정책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문부과학성#생명과학 예산#연구 예산#예산#일본
- 첨부파일
문부과학성 생명과학 관계예산 2010년도 개산요구 개요
2010년도 개산요구액 918억엔(711억엔)(100엔=1326.42원 2009년9월18일)
1.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 가속
○재생의료 실현화 프로젝트(2003년~2012년) 44억엔(27억엔)
○발생?재생과학종합 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47억엔(44억엔)
○재생의료 실현화 프로젝트(2003년~2012년) 44억엔(27억엔)
○발생?재생과학종합 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47억엔(44억엔)
2. 뇌과학연구의 전략적 추진
○뇌과학 연구전략 추진프로그램(2008년~) 37억엔(23억엔)
○뇌과학 종합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96억엔(90억엔)
○뇌과학 연구전략 추진프로그램(2008년~) 37억엔(23억엔)
○뇌과학 종합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96억엔(90억엔)
3. 혁신적 의약품?의료기기 창출을 위한 연구추진
○교류적 연구지원 추진 프로그램(2007년~2013년) 43억엔(24억엔)
○개인의 유전정보에 따른 의료 실현 프로젝트(제2기)(2008년~2012년) 35억엔(27억엔)
○분자 이미징 연구(문부과학성?이화학연구소?방사선 의학종합연구소) 53억엔(40억엔)
○게놈의과학 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16억엔(16억엔)
○창약?의료기술기반연구(이화학연구소) 10억엔(신규)
○중입자선암 치료연구(방사선의학 종합연구소) 59억엔(53억엔)
○교류적 연구지원 추진 프로그램(2007년~2013년) 43억엔(24억엔)
○개인의 유전정보에 따른 의료 실현 프로젝트(제2기)(2008년~2012년) 35억엔(27억엔)
○분자 이미징 연구(문부과학성?이화학연구소?방사선 의학종합연구소) 53억엔(40억엔)
○게놈의과학 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16억엔(16억엔)
○창약?의료기술기반연구(이화학연구소) 10억엔(신규)
○중입자선암 치료연구(방사선의학 종합연구소) 59억엔(53억엔)
4. 생명과학 연구전체를 위한 기초 연구
○혁신적 단백질?세포해석 연구 이니시어티브(2009년~2013년) 65억엔(58억엔)
○식물과학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14억엔(13억엔)
○면역?알러지 과학종합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34억엔(32억엔)
○혁신적 단백질?세포해석 연구 이니시어티브(2009년~2013년) 65억엔(58억엔)
○식물과학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14억엔(13억엔)
○면역?알러지 과학종합연구사업(이화학연구소) 34억엔(32억엔)
5. 생명과학 연구전체를 위한 체제정비
○신흥?재흥 전염병 연구거점 전략형 활용프로그램(2005년~2009년) 35억엔(신규)
○내쇼널 바이오리소스 프로젝트(2007년~) 14억엔(14억엔)
○종합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2006년~2010년) 4억엔(9억엔)
○입자선암 치료에 관한 인재육성 프로그램(2007년~2011년) 1억엔(1억엔)
○바이오리소스 사업(이화학연구소) 33억엔(32억엔)
○생명과학 기반연구영역사업(이화학연구소) 22억엔(21억엔)
○계산?정량생명과학연구(이화학연구소) 35억엔(5억엔)
○바이오인포매틱 추진센터사업(과학기술진흥기구) 18억엔(18억엔)
○신흥?재흥 전염병 연구거점 전략형 활용프로그램(2005년~2009년) 35억엔(신규)
○내쇼널 바이오리소스 프로젝트(2007년~) 14억엔(14억엔)
○종합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2006년~2010년) 4억엔(9억엔)
○입자선암 치료에 관한 인재육성 프로그램(2007년~2011년) 1억엔(1억엔)
○바이오리소스 사업(이화학연구소) 33억엔(32억엔)
○생명과학 기반연구영역사업(이화학연구소) 22억엔(21억엔)
○계산?정량생명과학연구(이화학연구소) 35억엔(5억엔)
○바이오인포매틱 추진센터사업(과학기술진흥기구) 18억엔(18억엔)
(생명과학분야의 중점사항)
-뇌과학연구 전략적 추진
-줄기세포?재생의학 연구 가속
-암 등의 혁신적 의약품?의료기기 창출을 위한 연구추진
-생명과학 연구전체를 위한 기초 연구
-생명과학연구 전체를 위한 체제정비
-뇌과학연구 전략적 추진
-줄기세포?재생의학 연구 가속
-암 등의 혁신적 의약품?의료기기 창출을 위한 연구추진
-생명과학 연구전체를 위한 기초 연구
-생명과학연구 전체를 위한 체제정비
(재생의료 실현화 프로젝트)(2008년~2012년) 4,356백만엔(2,650백만엔)
- iPS세포 등의 줄기세포를 일본내외의 연구원에 폭넓게 제공하는 기반 ‘iPS세포뱅크(가칭)’을 구축
- iPS세포 등의 줄기세포를 일본내외의 연구원에 폭넓게 제공하는 기반 ‘iPS세포뱅크(가칭)’을 구축
함으로써 재생의료뿐 아니라 여러 줄기세포를 활용한 질병 해명과 창약 연구를 가속화하여 의학전체
발전에 기여한다.
- 일본의 iPS세포?ES세포로 연구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구축한 iPS세포기술 플랫폼에 있어서 ‘재생의
- 일본의 iPS세포?ES세포로 연구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구축한 iPS세포기술 플랫폼에 있어서 ‘재생의
료의 실현화와 창약 등의 산업응용을 위해 iPS세포의 평가계 개발(‘세포의 표준화’확충)과 ‘iPS세포
로 전임상연구의 공동실시지원’을 한다.
(뇌과학 연구전략추진 프로그램)(2008년~2014년) 3,660백만엔(2,300백만엔)
‘사회에 공헌하는 뇌과학’의 실현을 위해 사회의 응용을 명확히 하여 뇌과학 연구를 전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뇌과학 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설정하고 그 과제해결을 위해 연구개발거점(중핵이 되는 대표기관과 참여기관으로 구성)을 정비한다.
‘사회에 공헌하는 뇌과학’의 실현을 위해 사회의 응용을 명확히 하여 뇌과학 연구를 전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뇌과학 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설정하고 그 과제해결을 위해 연구개발거점(중핵이 되는 대표기관과 참여기관으로 구성)을 정비한다.
(교류적 연구지원추진 프로그램)(2007년~2014년) 4,250백만엔(2,400백만엔)
암과 같은 의료의 실용화를 위한 유망한 기초연구 시즈(seeds)를 가지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시즈를 착실히 실용화시켜 국민의 의료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전략과 지적재산전략 책정, 시험물 제조 등의 교류적 연구의 지원을 하는 기능을 거점적으로 정비?강화시킴으로써 거점을 활용한 연구비의 교류적 연구를 추진한다.
암과 같은 의료의 실용화를 위한 유망한 기초연구 시즈(seeds)를 가지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시즈를 착실히 실용화시켜 국민의 의료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전략과 지적재산전략 책정, 시험물 제조 등의 교류적 연구의 지원을 하는 기능을 거점적으로 정비?강화시킴으로써 거점을 활용한 연구비의 교류적 연구를 추진한다.
(분자이미징 연구전략 추진프로그램)(2010년~2014년) 2,000백만엔(1,085백만엔)
제1기 프로그램에서 개발된 요소기술을 활용하여 선택과 집중을 한 분야에 있어서 임상을 위한 POC(Proof of Concept)를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자이미징:생체내 분자의 기능과 투여약물의 동태 등을 생물이 살아있는 상태로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제1기 프로그램에서 개발된 요소기술을 활용하여 선택과 집중을 한 분야에 있어서 임상을 위한 POC(Proof of Concept)를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자이미징:생체내 분자의 기능과 투여약물의 동태 등을 생물이 살아있는 상태로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신흥?재흥 전염병 거점 전략형 활용 프로그램(가칭))(2010년~2014년) 3,500백만엔(2,064백만엔)
지금까지 아시아?아프리카에서 정비한 해외거점을 활용하여 전염병 대책을 위한 연구개발의 추진을 집중적?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기초적 지식의 축적?인재육성 등을 추진한다.
또 거점간 네트워크 강화, 일본내외 관계기관과의 연대를 추진하면서 전염병 연구추진센터(가칭)을 설치하고 거점횡단형 공동연구, 긴급시 대응의 체제구축, 현지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국제공헌을 도모한다.
지금까지 아시아?아프리카에서 정비한 해외거점을 활용하여 전염병 대책을 위한 연구개발의 추진을 집중적?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기초적 지식의 축적?인재육성 등을 추진한다.
또 거점간 네트워크 강화, 일본내외 관계기관과의 연대를 추진하면서 전염병 연구추진센터(가칭)을 설치하고 거점횡단형 공동연구, 긴급시 대응의 체제구축, 현지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국제공헌을 도모한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Conti nued Leadership through Collaborati Conti nued Leadership through Collaborati on : Massachusetttts Biotechnology Council’s 2015 Strategic Plan
-
다음글
- 이머징 바이오의약기술과 성공적인 상용화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