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글로벌 항암 신약 개발 전략
- 등록일2010-02-19
- 조회수1209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0-02-18
-
출처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암
- 첨부파일
글로벌 항암 신약 개발 전략
이승훈 암정복연구개발사업 단장, 국립암센터 연구소장
암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부담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모든 암의 약 60%가 60세 이후 발병한다는 사실에 근거할 때 전세계적으로 새로이 진단되는 암환자가 연평균 현재 1천만 명에서 2020년 1천 5백만 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도 2002년부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65세이상 인구가 전체의 7% 이상) 2019년에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4.4%까지 높아질 전망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르게 고령화가 되면서 암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한 사망자도 증가하고 있다.
암은 1983년 이후로 26년간 국민사망원인 1위로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비용은 2005년 기준으로 14.1조에 달한다. 국립암센터에서 분석한 결과 2005년 한 해 동안 47만8,446명의 암환자가 병원을 찾았고 국내 암환자가 암 치료를 위해 쓰는 직접의료비용만도 연간 2조 3천억여 원에 달한다.
또한 암환자 1인당 경제손실도 평균 6천만원 수준으로 개인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암정복이 필요한 실정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 2019-07-2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5화 “광의학 치료기술” 편 2019-07-0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2화 “조직별 면역세포의 세포체 지도” 편 2019-05-16
- 정책/기획보고서 효율적 암 연구개발을 위한 국립암센터기관고유연구사업 성과분석 및 평가 2013-02-22
- 정책/기획보고서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기획연구 201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