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본, 2009년도 유전자변형식물 실태조사 결과에 관하여

  • 등록일2011-01-13
  • 조회수1296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1-01-07
  • 출처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유전자변형식물
  • 첨부파일
일본, 2009년도 유전자변형식물 실태조사 결과에 관하여
 
 
 
1.     농림수산성은 2006년도부터 유전자변형식물의 생육범위를 확대하거나 유전자변형식물의 변형된 유전자가 교잡가능한 근접종으로 확대하지 않았는지 알기 위하여 수입항 주변지역에서 유전자변형 유채 생육상황과 그 근접종 (, 재래종 유채) 과의 교잡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2.     2009년도는 유채종 (유채, , 재래종 유채) 이외에 콩과 그 근접종 (츠루마메) 를 조사대상에 추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채종은 2008년까지 조사와 마찬가지로 생육범위 확대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유전자변형콩과 츠루마메의 교잡종도 발견되지 않았다.
 
3.     또한 경년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앞으로도 조사를 계속할 예정이다.
 
 
조사 배경 및 취지
 
1.     일본에서는 유전자변형 농산물 수입과 유통에 앞서서 <유전자변형 생물 등의 사용 규제에 의한 생물다양성 확보에 관한 법률> 등에 의거하여 식물품종별로 생물다양성으로의 영향과 식품, 사료로서의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2.     농림수산성에서는 지금까지 유전자변형 유채와 유전자변형 콩에 관하여 운반시에 떨어져 생육하여도 생물다양성으로의 영향이 없다고 평가하고 수입과 유통을 인정하고 있다.
 
3.     또한, 칼타헤나법에 의거하여 승인시에 예상되는 생물다양성으로의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유전자변형식물의 생물다양성으로의 영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에 응답하기 위하여 2006년도부터 12개 수입항구 주변지역에서 유전자변형 유채 생육상황과 그 근접종 (, 재래종 유채) 과의 교잡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4.     2008년까지의 3년간 조사에서 각 연도별 유전자변형 유채 생육은 거의 같은 장소에 한정하고 있으며, 유전자변형 유채와 교잡가능한 근접종과의 교잡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경년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계속해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5.     2009년도는 유채류에 관한 조사대상항구을 18개로 늘리고, 각각의 항구 주변에서 유채류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을 최대 45지점까지 선정하여 각 지점으로부터 8개체의 식물체를 채취하여 제초제내성 단백질 유무 등을 검사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으로 추가된 콩과 츠루마메에 관해서는 10개의 수입항구 주변에서 콩 및 츠루마메를 생육하고 있는 지역을 최대 4개지점까지 선정하고, 각 지점으로부터 8개체의 식물체를 채취하여 제초제내성 단백질 유무 등을 검사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