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0년 공학기반분야 투자분석 조사연구
- 등록일2011-09-08
- 조회수552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1-09-08
-
출처
한국연구재단 웹진 9월호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기본계획#공학 투자분석
2010년 공학기반분야 투자분석 조사연구
1. 배경
새 정부들어 2008년 과학기술기본계획(577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7대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고자 기초연구사업비가 2008년 4,880억 원에서 2011년 9,196억 원으로 매연 큰 폭으로 증액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학기반분야의 예산도 매년 크게 증가하여 2008년 537억 원에서 2010년 1,052억 원에 이르렀으며 앞으로도 기초연구사업비 규모의 증가에 비례해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대폭적인 투자확대로 이제는 투자의 효율성에 대해서 보다 면밀히 분석하고 재점검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기계, 건설·교통분야를 중심으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 기초연구사업을 통한 지원실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학기반분야의 연구분야를 정의하고, 정의된 분야에 따라 총3,463개의 지원과제를 RB분야별로 재분류한 후 분석툴을 만들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2. 분석내용
공학기반분야의 연구분야는 RB분야별 지원과제 분석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아래와 같이 기계분야 6개, 건설·교통분야 7개 총 13개 RB분야와 73개 세부연구분야로 분류·정의하였다.
최근 5년간 공학기반분야 지원과제 총3,463과제에 대하여 RB분야별로 분류한 후 아래와 같은 분석툴을 활용하여 RB분야별, 연구수행단위별, 연구발전단계별, 연구자 특성별, 연구형태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3. 분석결과
공학기반 RB분야별 투자현황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RB분야별 분석
기계 6개 RB분야 점유율이 2006년 68.8%에서 2010년 63.8%로 5.0% 하락한 반면 건설교통 7개 RB분야 점유율은 2006년 31.2%에서 2010년 36.2%로 5.0% 상승하였다. 재료가공분야가 2006년 13.2%에서 2010년 5.5%로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건축설비환경분야가 2006년 2.5%에서 2010년 7.0%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연구성격별 분석
RB분야별 총 과제수대비 학제간 과제수 점유율(%)을 살펴보면 학제간연구 과제수 평균 점유율은 11.5%(총3,463과제 중 학제간연구 397과제)로 나타났으며 13개 RB분야 중 설계생산이 1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반공학 15.6%, 유체공학 14.6%, 열공학 12.1% 순으로 나타났다. 학제간연구 과제 점유율이 낮은 분야는 재료가공 8.7%, 건축설비환경 9.0%, 건축계획설계 9.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수행단위별 분석
RB분야별 총 과제수대비 집단연구 과제수 점유율(%)을 살펴보면 집단연구 과제수 평균 점유율은 1.0%(총3,463과제 중 집단연구 36과제)로 나타났으며 13개 RB분야 중 유체공학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조공학 2.4%, 열공학 2.1%, 건축설비환경 1.9%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연구과제가 전혀 지원되지 않은 분야는 응용역학, 재료가공, 건축계획 및 설계, 건축시공재료, 지반공학, 수공학 6개 분야로 나타났다.
연구수행단계별 분석
RB분야별 총 과제수대비 심화단계 과제수 점유율(%)을 살펴보면 심화단계연구 과제수 평균 점유율은 29.6%(총3,463과제 중 심화단계 1,025과제)로 나타났으며 13개 RB분야 중 설계생산이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재료가공 39.2%, 유체공학 34.7%, 지반공학 32.8% 순으로 나타났다. 심화단계 과제수 점유율이 낮은 분야는 교통공학 11.9%, 건축계획 및 설계 15.9%, 수공학 22.0%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 분석
RB분야별 총 과제수대비 여성 과제수 점유율(%)을 살펴보면 여성 과제수 평균 점유율은 6.8%(총 3,463과제 중 여성 235과제)로 나타났으며 13개 RB분야 중 건축계획 및 설계가 2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축설비환경 17.9%, 수공학 11.9%, 교통공학 7.9%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 과제 점유율이 낮은 분야는 구조공학 1.7%, 재료가공 2.3%, 건축시공재료 2.9%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분석
RB분야별 총 과제수대비 지방 과제수 점유율(%)을 살펴보면 지방 과제수 평균 점유율은 42.6%(총3,463과제 중 지방과학자 1,476과제)로 나타났으며 13개 RB분야 중 건축계획 및 설계 6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공학 55.9%, 건축시공재료 52.6%, 건축설비환경 49.4%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 과제 점유율이 낮은 분야는 열공학 29.0%, 설계생산 33.2%, 유체공학 37.3%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분석
각 연령대별 과제수 점유율은 30대 20.5%, 40대 44.7%, 50대 29.4%, 60대 이상 5.4%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40대 연구자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시사점
분야별
RB분야로 살펴보면 재료가공분야의 지원과제수 점유율 하락과 건축설비환경분야의 점유율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저탄소 녹색성장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축설비환경분야의 점유율 증가는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이나 모든 제조산업의 기반기술이며 국가중점육성기술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재료가공분야의 점유율 하락은 우려되는 점이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수행단위별
현재 총 연구비중 집단연구 지원비의 공학기반분야 평균 비율은 11.6%(총309,834백만원 중 집단연구비 36,030백만 원)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NSF의 directorate for engineering의 총 연구비중 집단연구비 비율이 약 30%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성격별
13개 RB분야의 학제간 연구과제수 평균 점유율은 11.5%이며, 학제간 연구가 가장 활발한 분야는 설계생산분야로 18.08%이며 가장 저조한 분야는 재료가공분야로 8.68%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특히 재료가공분야의 학제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수행단계별
특히 고도화단계 연구가 분야별 편중 지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성별 & 지역별
분야별로 성별, 지역별 연구과제수 점유율이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분야별 원인 분석 및 차별화된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