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해양바이오 연구동향 보고서

  • 등록일2012-03-09
  • 조회수724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1-03-29
  • 출처
    해양바이오정책지원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해양바이오 #녹색성장
  • 첨부파일

 

 해양바이오 연구동향 보고서
해양바이오 연구개발 활성화 대책
 
 
 
I. 추진 배경 및 경과
 
1. 추진 배경
 
□ 해양 생태계의 가치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견인차로서 해양천연물 신약, 해양바이오 에너지 등 다양한 해양 신산업 창출을 선도
○ 지구 표면적의 71%, 생물종의 80%가 서식하는 해양은 기후변화와 자원위기를 극복하는 신 성장 동력을 제공
 
□ 미국, 일본 등 해외 각국은 적극적인 해양바이오 투자로 해양자원 선점, 신약소재 개발 및 안정적인 먹거리 확보에 주력
○ 「국제식물 신품종 보호협약(UPOV)」에 따라 ’12년부터 법적 권리가 해조류까지 적용됨에 따라 해양생물 종자확보 경쟁 가속화
※ 육상생물 대비 해양생물 소재 상품화 성공률 2.17배
 
□ 세계 해양생명공학산업의 시장규모는 ’98년 8억 달러에서 연평균 29%가 성장하여 ’10년에는 16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국내 연구개발예산 중 해양바이오 분야에 대한 지원은 BT분야 ’08년도 예산대비 3%에 불과하여 범부처 차원의 대책수립이 시급
 
 
◆ 우리나라는 국토의 4.5배에 달하는 넓은 해양관할권과 다양한 해양자원으로 해양바이오 연구개발을 위한 지리적 강점 보유
 ▷ 경쟁력을 갖춘 IT, BT 기술력 및 우수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초기단계인 세계 해양바이오 시장의 선점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