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영국 신성장동력 정책 분석
- 등록일2012-11-06
- 조회수673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영국 신성장동력 정책 분석
[목 차]
Ⅰ. 영국 신성장동력 정책 현황
- 정책 추진배경
- 4대 정책 목표
- 세부 육성산업 분야
Ⅱ. 영국 신성장동력 정책 추진체계 및 예산현황
- 정책 추진체계
- 과학기술 R&D 예산 현황
Ⅲ. 정책적 시사점
Ⅰ. 영국 신성장동력 정책 현황
가. 정책 추진 배경
○ 영국은 과도한 재정 지출과 일부 산업에 편중된 불균형한 경제성장, 혁신지체 등으로 지속적인 국가경쟁력 하락에 직면하자 BIS1)(기업혁신기술부)와 재무부2)는 2011년 3월 경제성장 정책인 ‘성장계획(The Plan for Growth)’을 발표함
- 제조업의 GDP 기여도가 1997년 20%에서 2007년 12.5%로 낮아지고 제조업 종사자 수도 450만 명에서 3백만 명으로 감소 - 심각한 불균형 발전에 의해 GDP가 감소하고, OECD국가 중 재정수지적자와 인플레이션이 높은 국가로 평가됨
- 영국의 국가 경쟁력 지수는 1998년 4위에서 2010년 10위로 하락함
(그림 1) 제조업 생산량과 고용
자료: BIS, 201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클릭후 내용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확대해 보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DOE JGI Strategic Planning for the Genomic Sciences: Workshop Report
-
다음글
- Open Access in Biomedical Research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