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국·내외 노화연구 정책 및 연구 트렌드 분석

  • 등록일2013-02-06
  • 조회수762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02-01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노화연구
  • 첨부파일
국·내외 노화연구 정책 및 연구 트렌드 분석

Policies and trends in global aging-related research
 
 
국립보건연구원 생명의과학센터 뇌질환과
김현영

Ⅰ. 들어가는 말
 
  국제연합(United Nation)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사회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 이상인 경우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post-aged society)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UN이 정한 고령화 사회에 진입 하였고, 2018년에 고령사회, 2026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1]. 특히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의 이행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나라로서 복지지출 중 노인진료비와 노령연금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실질적으로 우리나라는 고령화에 따른 노인질환 증가로 의료비 지출압박이 심해지고 있으며, 고연령으로 갈수록 노인 의료비는 더욱 빠르게 증가 하여 2003년 대비 2010년의 노인의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65-69세가 92%, 70-74세가 108%, 75-79세가 140%, 80-84세가 200%, 85세 이상에서 340%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