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기업혁신지수: Company Innovation Index(CII)

  • 등록일2013-04-09
  • 조회수565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03-15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업혁신지수
  • 첨부파일

기업혁신지수: Company Innovation Index(CII)

 

 

혁신은 모범적인 기업들의 사례를 벤치마크하면서 확산되는 것으로서 혁신에 우수한 기업들이 공지될 필요성이 있으며 기업의 혁신이 갖는 다각적인 측면을 세부 지표와 더불어 종합지표로 제시함으로써 체계성과 간결성을 갖출 수 있다.

 

  이에 정량적/정성적 평가를 결합하여 종합지수를 제시하고 있는바, 이는 기술경제학의 기본 모델에 입각하여 (1) 혁신자원의 투입 (2) 기술/지식의 산출 (3) 경제적 성과로 구성되는 정량지표를 구성하고 정성적 지수는 정량지수 상위 300위(실제는 299개)에 대한 전문가평가에 기반하고 있다.

 

 종합혁신지수는 정량지수에 내재된 규모의 효과로 인해서 천명이상 대기업이 두드러지지만, 천명미만 대기업도 상위 30위에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볼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지수와 기업의 혁신, 방법론, 혁신지수와 순위, 세부 정량지표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시사점 1] 기업생태계의 불균형이 노정됨
 [시사점 2] 미국특허가 빈약하고 일부 기업들에 치우쳐 있음
 [시사점 3] 국내기업들의 정량적/정성적 혁신지수의 필요성 확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