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한국의 A형 간염 위험요인과 수학적 모형, 경제성 평가
- 등록일2010-02-18
- 조회수388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0-02-18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 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A형 간염
- 첨부파일
한국의 A형 간염 위험요인과 수학적 모형, 경제성 평가
Risk Factors, Mathematical Modelling, and Economic Analysis for Hepatitis
A in Korea
을지대학교 예방의학교실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 전염병관리과
A형 간염은 hepatitis A virus(HAV)에 오염된 식수나 음식물 또는 감염자와의 접촉에 의한 배변- 구강 경로가 주된 감염 경로이다. 따라서 A형 간염의 발생은 보건위생 상태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보건위생 상태가 향상됨에 따라 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서의 A형 간염 항체 양성률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성인에서 현증 A형 간염 환자의 발생 증가를 초래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소아의 A형 간염은 불현성 감염이 대부분인데 반해 연령이 증가할수록 현증 감염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고 증상도 심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A형 간염 발생은 2002년 인구 10만명당 15.3명에서 2008년에는 62.4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1].
이에 본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A형 간염 위험요인을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의 A형 간염 발생 수준을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추계하였다. 또한 A형 간염 관리 전략별로 추계된 환자 수에 따른 경제성 평가를 통해 어느 전략이 가장 짧은 시간 내에 A형 간염의 발생률을 줄이면서 비용 대비 편익이 클지 검토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