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바이오경제시대의 정책과제
- 등록일2014-02-12
- 조회수552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12-27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경제
- 첨부파일
산업연구원에서 발췌한 자료입니다.
2003년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가 완성되고 바이오기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과 산업이 융합되면서 바야흐로 바이오경제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고 우리나라의 바이오경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추진된 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 결과가 사회경제적 성과로 연계되도록 바이오경제 활성화 정책이 효율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정부는 지난 20여 년간 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투자를 크게 확대(연평균 23%)하여 왔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와 지속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 결과의 사업화, 그리고 사업화를 통해 발생하는 생산 확대와 고용 창출, 복지비용 감축 등 사회경제적 효과는 미흡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The integrated approach for Foresight evaluation : the Russian case
-
다음글
- Draft Horizon 2020 Work Programme 2014-2015 in the area of “European research infrastructures (including e-Infrastructures)”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일본 바이오 정책 실행계획 수립 2024-10-29
- 산업동향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 2024-08-19
- 기술동향 바이오경제 이끌어 갈 합성생물학, 韓·美동맹으로 날개 단다 2023-05-10
- 정책동향 [2024년 1호] (정책동향)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필요성 (美 OSTP, 12.20) 2024-02-06
- 제도동향 [글로벌 산업정책·기술·시장동향] 워싱턴DC Weekly Brief 1월 - 美 NSTC의 바이오경제 이니셔티브를 위한 데이터 비전, 필요성 및 액션 보고서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