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근거중심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의료분야 자료생산·관리 정책기획방안 마련
- 등록일2014-04-22
- 조회수560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10-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
- 첨부파일
이 자료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http://www.neca.re.kr)에서 발간한 보고서 입니다.
□ 서론
국내 의료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보건의료 선진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건의료정책 수립과정에서 근거기반의 정책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국가 보건의료 통계는 보건의료정책 수립의 기초가 되는 정보로 국민건강증진사업, 의료자원의 분배, 보건의료산업 등에 대한 지원 및 개발의 근거 자료가 되므로 통계수요에 따라 다양한 자료 수집체계 구축을 통해 생산되고 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분산형 성격이 강한 절충형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기관의 고유 업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통계는 각 기관의 책임아래 작성하여 통계수요에 맞춰 신속히 분야별 전문지식을 관련 통계 개발에 활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결과 간에 일관성이 적어 비교가 어렵고 자료수집체계 간에 연계성이 부족하며, 생산된 통계의 재가공에 한계점이 있어 정부 및 국민에게 통계 보급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보건의료통계는 그 특성상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주기적인 현황 파악과 추이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새로운 통계를 생산해야 한다. 따라서 국제연합과 선진국들의 보건의료통계 항목을 살펴보고 보건의료통계 현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의 보건의료통계 지표 생성 및 관리에 발전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Advancing Massachusetts Leadership in the Life Sciences … For Patients
-
다음글
- U.S. Department of Energy Strategic Plan 2014-2018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