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차세대 헬스 케어 산업을 위한 정책

  • 등록일2014-07-17
  • 조회수484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07-16
  • 출처
    KIET 해외산업정보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헬스 케어 #건강 수명
  • 첨부파일

 

차세대 헬스 케어 산업을 위한 정책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정보에서 제공하는 자료 입니다.

 

□ 늘어나는 국민 의료비-국민 의료비의 전망

 

-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중인 일본에서는 의료비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도에 38조 엔을 돌파. 앞으로도 GDP 성장을 초과하는 속도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약 60조 엔에 달할 전망

 

- 국민 의료비 중 의과 진료 의료비의 약 3분의 1 (9.8조 엔)은 생활 습관병 관련. 이 부분은 공적 보험 외의 예방 · 건강관리 서비스 산업을 적극적으로 창출함으로써 의료비 절감으로 이어질 분야.

 

 

□ 건강 수명 연장 산업의 중요성과 이의 역할

 

- 신산업 창출 및 의료비 절감 · 만성기 의료 (생활 습관병 관련)에 걸리는 의료비를 공공 보험 외의 서비스를 활용 한 예방 · 건강관리로 이동시킬 (셀프 메디케이션 추진)에 따라 ‘국민의 건강 증진’, ‘의료비 절감’, ‘신산업 창출’을 동시에 실현.

 

- 지역 경제 · 사회의 활성화 · 지역 인구 감소와 의료비 증가가 진행되는 가운데, 건강 수명 연장 산업의 역할은 점점 확대. ① 고령화에 따른 지역의 다양한 건강 요구의 충족, ② 농업 · 관광 등 지역 산업과의 연계에 따른 신산업 창출 (의료 · 농상공 제휴)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의료비 절감으로 연결

 

 

□ ‘수요 창출과 공급 확대의 선순환’ 을 위한 액션 플랜

 

- 건강 수명 연장 산업의 발전을 위해 건강 사업에 대한 기업 및 개인의 의식을 ‘비용’에서 ‘투자’로 전환해 나가는 것이 필요. 따라서 수요와 공급의 양측에서 환경 정비를 추진.

 

- 3개의 워킹그룹중 수급 양면에서 ‘사업 환경의 정비’, ‘건강 투자 · 건강관리의 촉진’, ‘서비스 품질의 가시화’에 대해 구체적 시책을 정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