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세계 5개국의 ICT 기반 헬스케어 정책 사례
- 등록일2014-07-17
- 조회수535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04-29
-
출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 첨부파일
세계 5개국의 ICT 기반 헬스케어 정책 사례
ICT 기반 헬스케어 산업의 본격적 발전에 따른 국가 차원의 관련 정책 수립 필요성 증대
▶ 모바일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이 촉발한 사물 인터넷 시대의 도래와 함께 커넥티드 의료 기기 및 웨어러블 단말을 통한 ICT 기반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이 본격화
- 전세계 ICT 기반 헬스케어 시장은 연평균 12~16%의 빠른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국제 사회는 발달된 ICT 기술을 이용해 전반적인 의료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가 차원의 헬스케어 정책 수립을 촉구 중
- 세계보건기구(WHO)의 '국가 e-헬스 전략 툴킷(National eHealth Strategy Toolkit)'은 ICT 기반 헬스케어 정책 수립을 모색하는 국가들에게 규제 수립 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 및 구체적인 과업을 제시
사회 환경 및 의료복지 실정에 따른 각국의 ICT 기반 헬스케어 정책 사례
▶ 비교적 선진화된 헬스케어 인프라를 보유한 국가들은 ICT 기술을 적극 활용 중
- 덴마크는 첨단 ICT 기반 헬스케어 시설을 갖춘 병원 신축 및 원격 의료 강화에 집중
- 체코는 응급 의료 서비스에 간단한 ICT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투입 자원 대비 높은 성과를 기록
▶ 방대한 인구와 영토를 보유한 국가에서도 국민 의료복지 관리 체계의 일원화를 통한 효율성 증진을 위해 ICT 기술을 활용
- 고령화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중국은 의료복지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약한 시골 지역의 노령 인구를 중심으로 한 ICT 기반 헬스케어 정책 및 전자 의료기록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
▶ 개발도상국은 ICT를 이용해 기본적인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 지역으로 헬스케어의 범위를 확대
- 나이지리아의 '마일라피야 보건 프로그램(Mailafiya Health Program)'은 1차 의료 시설의 부족을 ICT 기반의 이동 시설 및 전자 의료 기록으로 극복
- 방글라데시는 임산부 및 신생아용 원격 의료 서비스 '아폰존(Aponjon)'을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구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