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에볼라(Ebola) 바이러스의 출현과 국제사회의 대응 현황

  • 등록일2014-12-17
  • 조회수495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10-21
  • 출처
    KDB산업은행
  • 원문링크
  • 키워드
    #에볼라
  • 첨부파일

에볼라(Ebola) 바이러스의 출현과 국제사회의 대응 현황

 
* 이 자료는 한국정책금융공사 엄기현 책임연구원님께서 집필하신 보고서 입니다.

Ⅰ에볼라 바이러스의 재등장


1. 왜 아프리카인가?
▶에볼라(Ebola) 바이러스는 1976년 자이르1)와 수단에서 최초로 발견

○ 근원지였던 자이르 얌부쿠(Yambuku)를 가로지르는 에볼라강의 이름을 따서 에볼라 바이러스라 부름
○ 필로바이러스(Filovirus)과에 해당하는 에볼라 바이러스는 총 4개(Ebola Sudan, Ebola Zaire, Ebola Ivory Coast, Ebola Reston)의 서브타입으로 구분2)
- 필리핀에서 유래된 Ebola Reston 타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견

 


20141217_110425.jpg

자료 : Hartman et al. (2010) Ebola and Marburg hemorrhagic fever. Clinics in Laboratory medicine, 30: 161-177

 

 

- 처음 발견된 에볼라 바이러스는 Ebola Sudan으로 자이르와 근접한 도시인 나자라(Nzara)와 마리디(Maridi)에서 1976년 6월부터 11월까지 284명의 감염자 중 150명이 사망
○ 지난 30년 간 20회 이상 출현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1976-1979년, 1994-1997년, 2000-2004년 기간에 집중됨
○ 2014년 현재 진행 중인 에볼라 바이러스는 가장 높은 치사율(70~90%)을 가진 Ebola Zaire와 유전적으로 97% 일치(Fauci, 2014)

 

▶1976년부터 2012년까지 23건의 에볼라 출혈열 발병이 있었고 약 2,388명이 감염, 1,590명이 사망
주로 수단(1976, 1979, 2004), 콩고민주공화국(1976, 1977, 1995, 2007, 2008), 가봉(1994, 1996, 2001, 2002), 우간다(2000, 2007, 2011, 2012), 콩고공화국(2001, 2002, 2003, 2005), 코트디부아르(1994)와 같은 사하라 인근 국가에 집중

 


20141217_110757.jpg
자료 : Pourrut et al. (2005) The natural history of Ebola virus in Africa. Microbes and Infection, 7: 1005-1014

 

○ 인간과 동물의 혈청학적 조사(serosurvey) 결과,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나이지리아, 카메론, 차드, 중앙아프리카, 에티오피아, 마다가스카르에서도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흔적이 나타난 바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