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한국 바이오벤처 20년: 역사, 현황, 발전과제
- 등록일2015-01-12
- 조회수421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12-3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벤처
- 첨부파일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한국 바이오 벤처 20년을 뒤돌아보면서 앞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기 위한 종합 보고서로 기획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지난 20년의 한국 바이오 벤처의 역사를 핵심 사항 중심으로 정리하여, ‘한국적’ 바이오 벤처 생태계가 형성된 기원을 추적
- 한국 바이오 벤처 DB를 만들어서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에 대한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현황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정책 수립 및 사업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 한국 바이오 벤처 생태계를 핵심 사안 중심으로 분석하여 문제점과 한계를 진단
- 한국 바이오 벤처의 발전 과제를 제시하고, 그 중 정부가 개입해서 지원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제안
[주요내용]
□ 한국 바이오 벤처의 역사
- 한국 바이오 벤처의 역사를 ‘한국 바이오산업의 태동(1980~1992)’, ‘바이오 벤처기업의 출현(1992~1999)’, ‘바이오 벤처 붐과 그 이후(1999~)’의 세 시기로 나누어서 핵심 사항 중심으로 정리하였으며, 기사 검색, 이차문헌, 전문가 인터뷰 등의 방법을 사용
□ 한국 바이오 벤처의 현황
- 별도의 설문조사 없이 구득 가능한 기존 데이터들을 모아서 종합적인 바이오 벤처 DB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한국 바이오 벤처 현황을 분석
- 1,504개 기업에 대해 배태조직, 세부 분야, 지역을 코딩한 뒤, 이 분류에 따라 기업 수, 창업 추이, 연구개발비, 정부연구개발비, 특허, 재무성과, 제휴 실적 등을 분석
□ 한국 바이오 벤처 생태계의 진단
- 바이오 벤처 생태계를 창업 환경, 투자 환경, 제휴 환경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한계를 진단
□ 한국 바이오 벤처의 발전 과제
- 한국 바이오 벤처 생태계의 발전에 필요한 7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이 중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4가지 정책 과제를 제시
[정책대안]
□ 학/연의 창업 지원 체제 강화
- 교원·연구원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휴?겸직 제도, 지재권의 이전과 귀속 제도, 창업 활동의 업적평가 반영 등에 대해 표준안을 만들어서 대학과 연구소에 권고
□ 지주회사 등 조직 기반 창업의 강화
- 기술지주회사 등의 제도를 이용해서 조직기반의 창업을 활성화함으로써 개발자에게 위험부담을 지우지 않으면서 체계적으로 사업화로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
□ 초기 벤처를 위한 공공 재원 확대
- 창업 후 5년 이내의 바이오 벤처기업에게만 투자하는 특수목적 펀드 및 정부 연구개발사업 운용
□ 코스닥 IPO 제도 개선
- 코스닥의 IPO 제도를 개선해서 오랜 기간 동안 적자를 감수해야 하는 바이오 기업들도 코스닥에 쉽게 상장할 수 있도록 문호를 확대
|목 차| | |
요 약 | 1 |
제1장 서론 | 39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9 |
제2절 바이오 벤처 생태계의 분석 틀 | 42 |
제2장 한국 바이오 벤처의 역사 | 49 |
제1절 한국 바이오산업의 태동, 1980-1992 | 53 |
제2절 바이오 벤처기업의 출현, 1992-1999 | 67 |
제3절 바이오 벤처 붐과 그 이후, 1999- | 88 |
제3장 한국 바이오 벤처의 현황 | 123 |
제1절 한국 바이오 벤처 통계 | 123 |
제2절 한국 바이오 벤처의 특징 | 185 |
제3절 세부 분야별 기업 현황 | 192 |
제4장 한국 바이오 벤처 생태계의 진단 | 235 |
제1절 창업 환경 | 235 |
제2절 투자 환경 | 259 |
제3절 제휴 환경 | 296 |
제5장 한국 바이오 벤처의 발전 과제 | 321 |
제1절 한국 바이오 벤처 생태계의 발전 과제 | 321 |
제2절 정책 과제 | 341 |
제3절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349 |
참고문헌 | 353 |
SUMMARY | 365 |
CONTENTS | 367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