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 결과

  • 등록일2015-05-07
  • 조회수410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4-2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년도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 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농생명 국가전략대응기술개발사업, 농생명 원천기술개발사업)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1. 사업 개요
□ 사업 목표 및 내용, 규모
○ 목표
- 「농업생명공학 원천기술 확보 및 실용화 기술개발로 농업기술의 한계를 극복」
- 세부목표는 ① 농업생명공학 기술활용을 통한 식량안보 확보 등을 국가전략적으로 대응(식량자급율 10% 향상), ② 농업생명공학 원천기술개발을 통한 미래 선도기술 확보(예로, 토종자원 유전체해정보 획득 11종 등), ③ 농업생명공학 강국진입 : 현재 11위에서 사업종료시점 4위
○ 내용 : 1단계는 9개의 세부사업(7개 사업단, 2개 인프라사업)으로 진행되었고, 2·3단계도 9개 세부사업(7개 사업단, 2개의 신규사업)으로 구성됨
- 식물분자육종 : 주요 작물에서 전통 육종의 기반 위에 분자표지 및 형질전환을 이용하는 분자육종 기법으로 초다수·고품질·고기능성·내병성·기후변화 대응 우수 품종을 육성하여 종자산업의 중흥과 안정적 식량안보 기반 확충


- GM작물개발(GM작물실용화) : 농업생명공학 사업을 통해 개발된 실용화 또는 사업화 가치가 높은 GM작물을 대상으로 3-5년간의 환경위해성 및 식품안정성 평가를 통해 안정성이 확보됨과 도시에 복합 재해저항성 및 수량성이 증진된 글로벌GM작물개발을 통해 우리 농업의 한계 극복 및 세계 최고 수준의 GM작물 개발기술 강국 도약


-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 : 우리 고유 농업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지난 농업생명공학 사업을 통해 개발된 실용화 또는 산업화 가치가 높은 농생물자원을 대상으로 융·복합 BT기술을 대상으로 기능성 고부가가치가 높은 바이오 식의약소재를 개발하고 고부가가치화 함으로써 세계 시장을 선도할 실용화 기술을 개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