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ICT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과 대응방향
- 등록일2016-01-07
- 조회수512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1-04
-
출처
한국정보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IT & Future Strategy 2015-제11호]
ICT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과 대응방향
[목 차]
Ⅰ. 의료서비스 패러다임 변화와 가능성
Ⅱ. ICT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Ⅲ. 사회적 영향과 변화방향
Ⅳ. 주요 이슈 및 대응방향
[요 약]
◇ 의료서비스의 사회적 환경변화
- 고령화 시대의 진입과 유병기간 증가로 의료비 부담이 증대됨에 따라 질병 진단.치료와 함께 예측.예방.관리의 중요성 확대
- 사전관리, 진단과 치료, 사후관리를 포괄하는 '헬스케어(Healthcare)'에 대한 관심과 활용 증대
◇ 의료서비스의 기술적 환경변화
- ICBM(IoT-Cloud-Big data-Mobile)의 진화는 실시간.지능형 맞춤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의료서비스 분야의 혁신을 주도
- 특히, 최근에는 ICBM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웨어러블, 로봇 등 초연결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 부문의 다양한 시도가 추진
◇ 글로벌 기업의 헬스케어 서비스 경쟁 심화
- ICT 기업의 헬스케어 플랫폼 확보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헬스케어 관련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제공
◇ 사회적 영향과 변화방향
○ 의료서비스 제공의 혁신적 변화
- 치료중심의 의료서비스가 예방·사후 서비스까지 확대
- 데이터 분석기반의 최적화된 맞춤형 의료서비스가 실현
- 머신러닝 시스템의 첨단 분석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 제고
○ 의료비용 체계에 대한 효율적 변화
- 의료 보험료 체계의 변화를 유도
- 비용산정이 투입중심에서 효과중심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대두
- 신약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 절감의 효과
○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에 대한 변화
- 의료 전문성이 머신러닝 등 신기술에 의존하는 방향으로 변화
- 소비자의 의료기관 및 의료서비스 선택권이 강화될 전망
◇ 주요이슈 및 대응방향
○ 데이터 공유와 활용 vs. 데이터에 대한 권리와 보안
- 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지면서 의료 데이터의 활용 관련 기술적·제도적 완충 노력 필요
○ 의료 인력의 감축 vs. 새로운 고용 창출
- 기술발전에 따라 단위 노동력의 생산성 향상과 속도 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기술적 실업에 대한 대처가 중요
○ 머신러닝 시스템의 의료행위 인정 vs. 책임성 범위 한계
- 데이터 분석 및 예측 기능을 바탕으로 의료 행위가 이뤄지는 경우 행위 책임의 주체와 범위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
○ 폭발적 성장 전망 vs 장애물 극복이 선제
- 해당시장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균형 잡힌 시각에서 문제해결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문의 : 한국정보화진흥원 정책본부 ICT미래전략팀 주윤경 책임연구원(053-230-121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