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3D 프린팅이 열어가는 의료 산업의 미래

  • 등록일2016-05-24
  • 조회수587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5-16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3D 프린팅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Future Horizon: Spring 2016 (제28호)

3D 프린팅이 열어가는 의료 산업의 미래

 

 

글 : 김태양(과학기술정책연구원 동향정보실 연구원)

 

 

3D 프린팅 기술은 의료, 전자, 자동차,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연평균성장률 87%)를 보이고 있다. 국내 3D 프린팅 시장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미비한 수준(국내시장점유율 2.2%)이지만, 뒤늦은 기술 도입과 개발을 통해 시장 규모를 점층적으로 넓히고 있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의료 산업은 기존에 할 수 없었던 일을 가능하게 한다. 인공관절이나 인공장기, 뼈, 치아 등을 3D 프린터로 찍어내기 시작한 것이다. 다품종 소량생산은 3D 프린팅의 가장 큰 매력이다. 순수 티타늄(Titanium) 소재로 시행한 두개골 수술은 환자 개인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태아의 심장과 같이 정밀성이 요구되는 수술은 맞춤형 모형을 통해 모의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치아, 의족, 의수와 같은 비수술 분야도 마찬가지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