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우리나라 여성과 남성의 건강 : 기대수명, 사망률 및 주관적 건강 지표를 중심으로
- 등록일2016-06-09
- 조회수544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6-19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여성 건강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본건복지포럼
우리나라 여성과 남성의 건강 : 기대수명, 사망률 및 주관적 건강 지표를 중심으로
저자 : 김유미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대표 건강 지표인 기대수명, 사망률 및 주관적 건강 지표를 2000~2014년 시기에 걸쳐 성별로 요약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성별 건강 격차의 현황을 요약하고 여성 건강의 문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난 15년 간 한국 여성은 남성에 비해 더 오래 살지만 주관적 건강수준은 나빴다. 여성 내에서 교육수준에 따른 30세 기대여명의 불평등과 소득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지율의 격차가 관찰되었다. 사망원인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었는데, 여성의 폐암은 발생률에 비해 사망률이 높았으며, 알츠하이머병과 자살은 증가율이 남성에 비해 컸다. 남성과 비교한 여성의 고유한 건강문제 이외에도 여성 내에서도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의 차이가 있었다. 상대적으로 소외된 여성 건강의 문제를 의제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감시가 요구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