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바이오안보(Biosecurity)의 부상과 과학기술 정책방향 - 보건안보와 식량안보를 중심으로
- 등록일2017-01-16
- 조회수593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12-25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안보#과학기술 정책방향#Biosecurity#보건안보#식량안보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바이오안보(Biosecurity)의 부상과 과학기술 정책방향 - 보건안보와 식량안보를 중심으로
한성구(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장승동(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김현철(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요내용]
■ 오늘날 발생하는 위험들은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특성을 가진 문제들로서, 국가 단위의 군사안보를 중시하는 전통안보(traditional security)의 발상과 개념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의 안보 이슈들임
-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빈곤뿐만 아니라 신종 감염병, 사이버테러 등 전통안보와 차별되는 비전통 안보(non-traditional security) 즉, 신흥안보(emerging security) 분야에서 초국가적으로 발생하는 위험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 신흥안보의 특성은 주로 기술환경을 배경으로 해서 발생하는 신흥안보 문제에서 발생하고, 인간 행위자뿐만 아니라 다른 수많은 사물(또는 기술)변수들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과학기술 기반의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임
■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바이오안보 현상의 성격은 이분법적인 구도에서 핵심문제와 주변 문제로 나누어 보기에는 너무나도 복잡한 면모를 띠고 있어,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바이오안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함
- 바이오안보는 보건, 농업 혹은 환경연구 분야뿐만이 아니라 병원균이 생물작용제로 무기화됨으로써 나타나는 안보적 위협에 대응하는 생물방어(biodefense) 혹은 생물전(biological warfare) 차원까지 포함하고, 바이오안보는 내적 다양성 외에도 비대칭성을 특징으로 함
■본 이슈페이퍼에서 바이오 안보란 "생체, 생물학적 시스템, 유전체 또는 그들로부터 유래되는 물질들과 관련된 안보 의제 및 이슈들"로 광의의 의미를 채택하고, 우선적으로 보건 및 식량안보를 중점적으로 고찰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