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백신접종 순응도의 사회맥락적 영향 요인: 2009년 미국 신종 인플루엔자(H1N1) 발생을 중심으로
- 등록일2017-03-15
- 조회수453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12-31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종 인플루엔자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백신접종 순응도의 사회맥락적 영향 요인: 2009년 미국 신종 인플루엔자(H1N1) 발생을 중심으로
신종 감염병 발생의 초기 단계에서는 미디어의 과잉보도와 대중의 불안에 대처하기 위하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다. 이는 신종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훨씬 포괄적인 역할을 하는데 백신 순응도와 비약물적 중재를 동시에 강화하는 것에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년 미국 신종 인플루엔자 발생을 중심으로 백신접종 순응도의 사회맥락적 영향 요인을 탐구하였다.
연구자료는 2010년 미국에서 수행된 H1N1 관련 패널 조사이다(N=1,569). 조사도구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제시한 비약물적 중재와 백신순응에 대한 문항들로 H1N1의 유행에 대처하는 응답자들의 건강행태와 예방행동을 포함하고 있다. 분석방법은 구조영향모형을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이다.
연구결과, H1N1에 대한 지식이 높고 염려와 관심이 많으며 건강관련 사회 연결망이 강하고 의료인을 통해 정보탐색을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하여 사회적 거리두기나 개인위생 실천과 같은 NPIs를 실천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특히 세정제로 손을 자주 씻는 보호적 행위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구집단의 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백신 접종과 NPIs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이해도를 높이며 잠재적 부작용 등 잘못된 정보를 판단하는 능력을 갖추게 하여 인구 집단 전반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