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오픈사이언스정책의 확산과 시사점
- 등록일2017-08-29
- 조회수425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8-08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오픈사이언스#디지털시대#오픈액세스#공공액세스#OA저널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오픈사이언스정책의 확산과 시사점
신은정, 정원교
본 보고서는 디지털 시대 오픈 사이언스의 부상 원인, 주요국의 오픈 사이언스 정책 도입 · 확산 현황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오픈사이언스(Open Science)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연구의 전 과정을 보다 개방적으로 전환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을 말함(OECD, 2016)
디지털 기술의 확산과 더불어 과학계는 2000년대 이후 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연구를 추진해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개방화를 경험하고 있다. 오픈 액세스 저널의 성장과 온라인 논문의 일상화, 데이터기반 과학의 성장과 연구데이터의 개방·공유 사례가 증가하는 등 과학계 연구 방식의 디지털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의 과정에서 주요 국가들은 오픈 사이언스 정책을 통하여 연구의 가치와 목표를 재점검하고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글로벌 차원에서 유럽, 미국, 일본의 오픈 사이언스 정책이 도입된 배경과 확산 실태를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오픈 사이언스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오픈 사이언스 정책의 구현을 위하여 ▶ 오픈 사이언스 정책의 목표와 지향점에 대한 국가적 논의, ▶ 우리나라의 연구와 산업 환경을 고려한 정책의 기획, ▶ 개방형 민-관 협력 추진체계를 통한 정책의 이행 등을 제언하고 있다.
보고서 저자인 신은정 박사는 “오픈 사이언스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가속화되고 있지만, 어느 방향으로 발전시킬 지에 대한 결정은 공공정책의 몫”이라면서, “국내적으로도 오픈 사이언스 정책의 기획 및 이행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