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한국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투자 활성화 방안

  • 등록일2018-03-21
  • 조회수543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02-14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투자 #활성화 방안
  • 첨부파일

출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투자 활성화 방안(2/2차년도)

 

[목 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부문 투자 실태
제3장 농가 유형별 투자 실태와 투자 결정 요인
제4장 농업법인 투자실태
제5장 결론: 농업투자 활성화 방안

 

[요 약]

 

한국농업이 성장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가? 한국농업의 발전을 위해 농업 부문에 적절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한국농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어떻게 투자를 활성화시킬 것인가? 한국농업에 애정을 가지고 미래를 걱정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 같은 질문을 해보았을 것이다. 한국농업의 성장과정을 돌이켜 보면, 농업 노동력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지만 농업 기계화 등 고정자산의 투자를 통해 농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최근 농지 규모는 축소되었지만, 신품종 개발, 생산기술 개선 등 생산성 향상을 통해 한국농업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한국농업은 토지와 노동 투입이 감소하는 가운데 자본투입을 확대한 것에 힘입어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농업의 발전에서 투자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정부도 농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각종 정책 자금을 제공하여 농업 투자를 유지하고 있고,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 제도를 운영하여 농업경영체가 금융기관을 통해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농식품 모태펀드를 조성하여 높은 수익이 예상되는 농식품 산업 부문에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이 같은 정부의 정책이 목적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지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면 농업 투자 활성화를 통한 농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2년에 걸쳐 진행되었다. 1년차 연구에서는 한국농업의 장기 구조 변화, 농업 성장의 요인, 농업 부문 자본 투자의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의 투자 실태를 분석하고 정부의 다양한 투자 활성화 정책을 진단하여 투자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