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농업과학기술이 주도하는 선진통상농업 구현전략

  • 등록일2018-04-04
  • 조회수470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12-30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과학기술
  • 첨부파일

 

농업과학기술이 주도하는 선진통상농업 구현전략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과학기술과 혁신의 관점에서 과학기술이 주도하는 선진통상농업의 의미와 가치 조명
○ 농업 전후방산업을 포함한 농산업 수출현황 및 분야별 분석을 통해 한국 농업 수출 확대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제공

 


[주요 연구내용]

 

○ 사회투자농업과 선진통상농업의 개념과 의미 정리


○ 농산업 기술수출의 시장경쟁력에 대한 국제 비교
­   (분석대상) 한국, 일본, 네덜란드의 농업 투입재, 농산물, 농산가공품의 수출규모 및 경쟁력
­   (결과) 네덜란드가 압도적 수출 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한국 농업의 수출은 양적 규모는 작지만 시장점유율 및 TSI 등 질적 측면에서 성장잠재력 보유


○ 농산업 기술수출을 위한 정부 정책 동향 분석
­   (분석대상) 농업 수출 관련 국정어젠다, 계획, 정책사업 등
­   (결과) 농업 소비재 수출을 위한 지원사업이 대부분이며 해외 현지 대응사업은 상대적으로 미흡


○ 농산업 수출확대를 위한 분야별 특장점 분석
­   (농업 투입재) 종자, 비료, 농약, 농기계, 관수자재의 수출에는 시장선택경로의 이원성, 농업 기술지도와의 연계성, 제품 간 상보성, 구매 반복성, 국가 간 특이성, 대형시장과 틈새시장의 혼재성 등의 특징 존재
­   (농업 원물) 수출 물류비, 원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 안정적인 물량공급, 해외 마케팅 등을 고려할 필요

 

 

[결론 및 정책제언]

 

○ 농업 투입재 수출을 위한 상설형/비상설형 해외 테스트베드사업
○ 농업 원물 수출을 위한 특화작목연구소의 수출거점화
○ 해외농업개발사업을 활용한 현지 수출전략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