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 등록일2019-02-21
- 조회수420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1-23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전망
- 첨부파일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제1부 2019년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제1장 2019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제2부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를 향한 농정의 핵심 이정표
제2장 직불제를 다시 생각한다
제3장 농업·농촌 일자리 증가, 어떻게 볼 것인가
제4장 포용사회를 향한 새로운 도전, ‘농촌 유토피아’
제5장 푸드플랜, 먹거리 정책의 전환과 과제
제6장 건강한 식품선택을 위한 스마트한 표시정책
제7장 미래기술 기반 건강한 먹거리 산업 동향과 과제
제8장 신기후체제 출범에 따른 농산업의 대응과 기회
제9장 정부-민간 협력의 농업혁신시스템 구축
제10장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이끄는 빅데이터 활용 방안
제11장 남북미 대화 동향과 대북 농업협력의 준비, 溫故而知新
제12장 재편되는 국제무역질서, 농식품 교역의 현황과 도전
제13장 중국 IT기업, 농업부문의 혁신을 주도하다
제3부 산업별 중장기 미래
제14장 식량작물 수급 동향과 전망
제15장 국제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제16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제17장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제18장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수급 동향과 전망
제19장 엽근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제20장 양념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제21장 드론은 향후 관측사업 고도화를 리드할 것인가
제22장 한육우·돼지·젖소 수급 동향과 전망
제23장 가금류 수급 동향 및 전망
1 거시경제전망 및 대외여건변화
1.1. 세계경제 동향과 전망
1.1.1. 세계 및 주요국 경제성장률
? 2018년 세계경제성장률은 미국과 아시아 신흥국들을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통상마찰 심화와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신흥국 금융 불안 가능성등으로 인해 전년보다 0.2%p 낮은 3.1%로 추정된다.
? 2019년 세계경제는 신흥개도국 중심의 양호한 성장세 전망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및 통화긴축 기조,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개도국의 경제위기 가능성, 정치ㆍ지정학적 불안정성 확대 등 세계경제의 하방압력 리스크로 인해 2018년 경제 성장률 추정치인 3.1%보다 0.2%p 낮은 2.9% 성장할 전망이다.
- (선진국) 미국은 세제개편 효과의 점진적 감소, 기준금리 인상 기조, 미ㆍ중 통상 분쟁장기화 등으로 전년 대비 0.4%p 낮은 2.5%의 성장률을 나타낼 전망이다. 유로지역은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브렉시트에 의한 불확실성 등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전년보다 다소 둔화된 1.5%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 (신흥국) 브라질 및 아세안 5개국은 완만한 소비 증가세와 정부지출 등으로 전년 대비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나,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일부 금융 불안 취약국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 2019년 미국경제는 민간소비지출의 증가와 이로 인한 활발한 기업활동이 기대되나, 미ㆍ중 통상 분쟁으로 기업의 부담이 가중되고 세제 혜택의 기저효과로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 정부가 미ㆍ중 통상 분쟁으로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제조 원가는 상승하고, 대체 협력업체 물색 등으로 기업의 비용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나, 분쟁이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여 2019년 미국경제 성장세는 둔화될 전망이다.
- 2018년 미 정부의 회계연도 재정적자는 법인세 축소 등의 세제 개편과 지출 확대로 전년 대비 17% 증가한 7,790억 달러로 추산되며, 이는 2019년 성장모멘텀을 축소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유로존) 2019년 유로존 경제성장률은 고용상황 개선과 민간소비 중심의 내수 호조 등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가겠으나, 글로벌 무역 분쟁에 따른 기업투자 및 수출 둔화, 브렉시트 협상 결과와 EUㆍ미국 간 보호무역조치 갈등 심화 등으로 경제 심리가
위축되어 2018년(1.9%)보다 0.4%p 감소한 1.5%로 전망된다.
- 프랑스와 영국의 경제성장률은 파업과 기상악화 등의 요인으로 경제성장이 부진하였던 전년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정책동향 [R&D 이슈브리프] OECD-FAO 농업 전망(Agricultural Outlook) 2024-2033 발표 2024-08-14
- 산업동향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2024-02-16
- 산업동향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2021-02-19
- 산업동향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2021-02-18
- 정책동향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2020-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