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제139호 과학기술&ICT 동향

  • 등록일2019-04-09
  • 조회수434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4-01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과학기술동향#ICT#ICT 동향
  • 첨부파일

 

 제139호 과학기술&ICT 동향

 

 

[목차]

 

PART 01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 미국, 노령인구 지원 신기술 발표 
   ? 미국, 신약 가격 통제를 위한 ‘바이돌법’ 영향 전망 
   ? 일본, 오픈이노베이션 정책 논의 
   ? 일본, 2019년 국가 산업 10대 키워드 발표 
   ? 중국, 화웨이의 AI 분야 투자 확대 
   ? 중국, 2019년 정부 업무보고 발표 
   ? 독일, 2019 연구혁신 중점 방향 제시 
   ? EU, 2018년도 범유럽 여성 통계 발표 
  2. ICT 
   ? 중국, 1년 간 준비한 블록체인 산업 국가 표준 최초 제정 
   ?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친환경자동차' 시대로 진입 가속 
   ? EU, 다양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조성 담금질 
   ? MIT, 2019 혁신기술 발표…IT 영역은 3개 부문 
   ? 2019년 블록체인 도입 본격화 예상…국가별 정부 지원 증가


PART 02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PART 03 주요 통계

 

[내용]

 

Ⅰ 주요 동향(1) : 과학기술


1. 미국, 노령인구 지원 신기술 발표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산하 노인 지원기술 연구개발팀은 노인의 건강 및 사회참여 기회를 최대화하는 잠재 기술을 발표*(’19.3)
* Emerging Technologies to Support an Aging Population


○ 트럼프 행정부는 노령화 인구에 대한 해결책을 R&D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신기술을 통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목표 설정
- 공동체에서의 개인의 선택의 폭 확대, 도우미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요양원 및 병원 등 건강비용 혜택 확대
※ 미국 내 65세 노인인구는 2060년까지 9,500만 명으로 증가해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할 전망


○ 보고서에서는 독립적 생활을 위해 일상생활 활동 보조, 인식 변화, 소통과 사회 상호작용, 개인 이동성, 교통수단 접근성, 의료서비스 접근성 등 6가지 구체적 방법을 제시


1) 일상생활 활동 보조
※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 필요
- 위생 관리 : 스마트 홈과 센서 기술을 통한 정기적 목욕 샤워, 건강한 피부 및 치아건강 유지
- 영양 섭취 : 가상비서와 로봇의 도움으로 1일 영양 요건을 충족시키고 스스로 식사가 가능하도록 지원
- 약 복용 : 센서, 디지털 알약, 앱 등을 활용해 치료제 복용량 유지


2) 인식 변화
※ 인지역량을 모니터링하고, 두뇌 훈련법을 제공하며, 재정적 안정시스템 구축
- 인지 능력 모니터링 : 원격진료와 모니터링 기술을 통해 추론, 기억, 소통능력을 정기적으로 평가
- 인지 능력 훈련 : 인지 훈련 어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을 통해 기본 역량을 개선하고 재활을 통해 인지 역량 회복
- 재정적 안정 : 금융지식 교육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신원 확인을 위한 웨어러블, 생체 인식 기술 등을 통해 독립적 재정 관리 가능


3) 소통과 사회 상호작용
※ 청각 능력을 돕고, 가족과 지인, 주민 커뮤니티 등 공동체와의 연결 강화
- 청력 : 무선통신시스템과 언어 인식 역량 및 연산 능력 향상을 통해 효과적 보청기 제공
- 다양한 커뮤니티와의 소통 : 자동 번역기술과 음석 인식 문서작성 프로그램 성능 개선으로 의사와 환자 간 영어나 전문 의학용어를 번역


4) 개인 이동성
※ 자유롭고 안전하게 집 주변과 이웃을 이동할 수 있도록 기여
- 보행 보조 : 로봇과 웨어러블,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등을 개발해 자택과 거주지 주변 이동을 돕고 감소한 근력과 이동 능력을 보완
- 회복 : 가상현실, 게임시스템, 스마트홈 기술 등을 통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 내에서 물리적 활동과 건강 회복 활동 가능


5) 교통수단 접근성
※ 운전자의 안전과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
- 운전 :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운전 적합도를 평가하고 운전자 보조기술이나 자율주행차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발전
- 대중교통 : 길 찾기와 일정 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돕고, 대중교통 수단과 최종 목적지를 잇는 자율주행 네트워크 확보


6) 의료 서비스 접근성
※ 정기적인 검진을 위한 진료 배정 조율 및 헬스케어 서비스 효과성 제고
- 원격 진료 : 스마트폰, 센서, 인터넷 등을 활용한 원격진료 기술 개발을 통해 의료 서비스 제공 범위와 질 향상
- 전자진료 계획 : 의료 IT기술과 플랫폼 개발을 통해 현재 전자진료 조율 시스템을 개선하고, 환자, 돌보미, 진료팀 간 진료 계획 공유


○ 범 분야적으로 노인 지원에 활용되는 이슈로 시스템 수요, 프라이버시 보안, 스마트 홈 등에 대한 대응이 필요
- 시스템 수요 : 새롭거나 개선된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전자기기 등 요구
- 데이터 수집 관리 : 센서 처리 가공하는 알고리즘의 기능 및 가격 개선
- 스마트 홈 : 심혈과계 질병 위험 요인, 수면패턴, 사회적 상호관계 등 지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