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일본의 바이오분야 R&D 프로그램 조사
- 등록일2019-04-10
- 조회수506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3-29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일본 바이오#R&D 프로그램
- 첨부파일
일본의 바이오분야 R&D 프로그램 조사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Ⅱ. AMED 연구지원
1. AMED 개요
2. AMED 주요 지원 분야
Ⅲ. JST 연구지원
1. JST 설립배경 및 목적
2. JST 예산
3. JST 조직 및 역할
Ⅳ. JSPS 연구지원
1. JSPS 개요
2. JSPS 연구지원
Ⅴ. 시사점
참고 문헌
첨부파일 참조
[내용]
Ⅰ 서론
1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바이오분야에 대한 일본정부 지원 동향을 조사하기 위해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와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JST)와 일본학술진흥회(JSPS)에서 어떤 연구를 지원하고 어떤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AMED와 JSPS, JST가 지원하는 연구를 자세히 살펴보고 향후 한국 바이오 분야 연구의 지원 방향이나 체계를 정립함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AMED는 2015년 미국의 NIH(국립보건원)을 벤치마킹하여 설립한 기구로서 보다 효과적이고 실효성있는 바이오분야 연구지원을 위해 7개의 프로젝트 경영본부를 두고 있으며, 각 분과에 맞는 연구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가 바이오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만큼, 본 연구도 AMED의 연구 지원에 초점을 맞추어 자세히 설명해 두었다.
Ⅲ장에서는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JST)를 소개하였다. JST는 다양한 센터 중심으로 연구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센터에서 어떤 연구가 지원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Ⅳ장에서는 일본학술진흥회(JSPS)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JSPS의 연구비 지원의 핵심은 과학 연구비인데, 과학연구비는 경쟁적 연구비로 연구자들의 연구계획서에 대해 동료심사를 거쳐 연구비가 지원되고 있다.
Ⅱ AMED 연구지원
1 AMED 개요
일본은 2015년부터 건강?의료 추진법과 국립연구개발법인 일본의료연구개발 기구법에 따라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AMED)를 설립하였다. 후생노동성,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에 분산된 바이오헬스 R&D 일원화의 추진에 따라 설립된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는 조직경영, 프로젝트 경영, 프로젝트 지원 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00여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