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 등록일2019-04-11
- 조회수457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4-03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융합시대#신산업#혁신성장역량평가
- 첨부파일
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지능형 반도체, 인공지능, 실감형콘텐츠, IoT가전, 지능형로봇, 자율차, 이차전지 등 9개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 역량이 대부분 미흡한 것으로 평가
● 신산업별로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지능형 반도체와 바이오헬스 분야가 특히 미흡한 것으로 평가
국내 9개 신산업의 가장 큰 공통적인 약점과 위협요인은 미약한 산업생태계 기반과 신산업 굴기를 통해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 후발주자로만 여겼던 중국은 규제 혁신과 창업 활성화, 과감한 M&A와 연구개발 등을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도약 중
신융합 시대에 대응한 국내 신산업 창출을 위해서는 ‘산업생태계’, ‘사업화 및 시장창출’, ‘성장기반’, ‘기술개발’ 등 4대 부문에서의 혁신성장 역량 강화가 필요
● 첫째, 국내산업의 최대 약점인 후방부문 육성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건화가 긴요하며, 혁신적 중소기업 역량 강화, 미래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벤처·창업 활성화 기반의 구축 필요
● 둘째, 민간 실증사업 환경 개선 및 대규모 테스트베드 구축 등 사업화 및 시장창출을 위한 전략적 지원 확대
● 셋째, 성장기반 강화를 위해 미래 인재양성체계 확충 및 글로벌 변화에 부합한 제도 및 규제 혁신이 시급
● 넷째, 정부의 기초·원천 R&D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민간의 상용화 R&D 투자를 활성화
* 본고는 2018년 산업연구원이 수행한 기본연구과제 「신융합 시대 유망 신산업의 국내 성장역량 분석과 과제」의 일부 내용을 요약·수정하여 작성한 것이다.
1. 신산업의 세계시장 전망과 한국의 위상
세계 신산업 시장은 두 자릿수의 높은 성장세 전망
9개 신산업의 세계시장 전망을 보면, 2017~2023년 동안 지능형 반도체와 바이오헬스를 제외하고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의 높은 성장세 전망
특히 실감형콘텐츠가 58.1%로 가장 성장성이 크고 AI 시장도 매년 53%의 고성장이 예상되며, 차세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이 뒤를 이을 전망
● 지능형 반도체와 바이오헬스는 시장의 절대적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8~9%의 성장률이 낮다고 평가하기는 곤란
● 자율주행차 시장은 레벨 3단계 이상을 기준으로 할 때 현재 시제품 단계이지만 2020년 이후 고성장세 전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정책동향 EU 집행위, 드라기 전 ECB 총재의 ‘EU 경쟁력의 미래’ 보고서 발표 2024-10-17
- 제도동향 디지털 전환 시대, 서비스산업에서의 혁신 흐름과 규제개혁 2024-04-16
- 산업동향 [KEIT 이슈리뷰 2024-1~2월호] 2023년 추진 성과와 2024년 추진 계획_신산업(바이오, 의료기기) 2024-03-06
- 정책동향 [과학기술정책 Brief] 신산업 인력정책, 업종별 수급전망 아닌 통합적 수급 변화 모니터링 체계로 조속히 재편해야 2024-01-02
- 정책동향 KISTEP InI Vol.45 / Summer 2023 그린바이오 3대 유망 분야별 기술특성을 고려한 신산업 육성 방안 20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