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향 분석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 전략적 제언
- 등록일2019-04-16
- 조회수470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4-09
-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웨어러블 디바이스#국내 중소기업
- 첨부파일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향 분석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 전략적 제언
건국대학교 교수 권혁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폰과 더불어 우리 삶의 필수 아이템으로 여겨질 것이다. 최근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세대 컴퓨팅 분야로 주목받고 있고, 활용 범위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의료, 헬스케어, 산업, 기업용, 제조업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해야겠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기에 본고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관련한 국내ㆍ외 기술개발 동향, 시장 규모 및 관련 업체현황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유니콘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해 차세대 디바이스 관련 분야 중소기업의 사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I. 서론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장치로 셔츠, 팔찌, 시계, 신발 등 피트니스 및 헬스케어 관련 기기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기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함께 우리 삶의 필수 아이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세대 컴퓨팅 분야로 주목받고 있고, 활용 범위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의료, 헬스케어, 산업, 기업용, 제조업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과의 연결을 통한 데이터 정보 수집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사용 편리성이 높아져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기 확산 속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18년 2월 14일 중소기업 R&D의 전략적 투자 방향을 제시한 “중소기업기술 로드맵(2018~2020)”을 발표하며,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 기술로 15개 분야, 122개 테마를 제시하였다. 그 중 하나로 웨어러블 분야를 선정하였으며, 세부 항목으로 스마트시계, 신발, 의류, 패치, 생활약자 보조 착용기기, 체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포츠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휴대용 생체인증 기기 및 시스템 등을 제시하였다.
정부는 도약단계(3~7년차) 창업 기업을 지원하고, 4차 산업혁명 분야 육성 및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18 창업 도약 패키지 지원 사업을 통해 4차 산업혁명 분야 창업 기업을 모집하였고, 많은 기업들이 도전하여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국내 업계에서는 다양한 영역에서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해야겠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그 예로 세계 최대 전자제품박람회(Consumer Electronics Show: CES)에 출품한 영유아용 차세대 디바이스를 보면 미국 15개 기업, 한국은 이지앤홈에서 핸즈프리 독립형 부모용 밴드를 출품하였고, Lineable은 앱을 통해 미아를 발견하는 위치 공유 플랫폼을 출품한 바 있다. 총 의류형 3종, 액세서리형 6종, 기타 14종이 출품되어 그 관심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글로벌 분석 기업 IDC에 따르면,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규모가 2018년 45억에서 2022년 약 95억 달러에 이르는 고속 성장세가 예측된 바, 스마트 주변기기 등 관련 IT 기업들이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는 몇 년 전 유망했던 유니콘 기업도 현재 사라진 기업이 있을 정도로 관련 분야가 지속 성장하기가 어려운 분야 중 하나이며, 애플, 삼성, 구글 등 대기업과의 경쟁도 필연적이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본 고의 목적은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전 세계 시장현황, 국내외 기업들의 시장진입 성공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앞선 논의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어떻게 해야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에서 지속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II장에서는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III장에서는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현황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IV장에서는 국내의 차세대 웨어러블 기업 동향을 분석하고, V장에서는 차세대 디바이스 분야의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어떻게 하면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지 성공전략과 함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사례 분석을 진행하고, VI장에서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정의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세대 모바일 기술을 통해 평상시 생활 속에서 신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연결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 같이 연동할 수 있는 안경, 밴드, 시계 형태의 포터블 즉 휴대형, 피부에 부착 가능한 패치형태, 사람 신체 속에 이식 및 복용하는 형태의 이터블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생체 신호, 압력, 가속도, 방향 등 많은 물리량을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생체전위신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해야 하며,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제대로 교환하기 위해 전력 소비를 최소화시키면서 배터리의 수명 주기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하다.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용성, 편리성, 호환성 등의 기술 특성 요인이 중요하며, 또한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관련 제품 특성과 소비자 니즈에 따라 감성, 패션, 디자인, 스토리텔링 등이 제품의 기술특성요인 만큼이나 중요하다.
와이파이, 3G, 4G, 5G의 이동통신망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고, 각종 어플을 통해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며, 사물 인터넷의 서비스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효용성을 넘어설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