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기초연구의 가치 창출을 위한 신규 NSF 융합 사업 소개
- 등록일2019-05-16
- 조회수437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1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연구#NSF 융합 사업#NSF
- 첨부파일
기초연구의 가치 창출을 위한 신규 NSF 융합 사업 소개
[목차]
1. 사업 개요
2. 사업 특징
3. 사업 내용
4. 시사점
5. 참고자료
6. 알아두면 좋은 R&D Q&A
[내용]
1. 사업 개요
○ (명칭) NSF Convergence Accelerator (약어 : C-Accel)
※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 : ‘50년에 설립된 전 학문분야에 연구비를 지원하는 연방기관
○ (배경) 현대의 연구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학문적 관점을 통합하는 융합연구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전략적으로 투자하여왔고, 국가적으로 중요한 분야에서 융합연구를 더욱 가속화 시킬 필요가 있음
○ (목적) 중요 국가과제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 이론, 방법론, 데이터, 연구공동체 등이 연결·통합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활용하는 융합연구**의 가속화와 촉진
* 다분야의 연구팀과 파트너들이 위험성은 높으나 혁신적인 사고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노력 등
** Convergence Research :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 방법 및 전문지식을 통합함으로써 과학적 발견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연구의 새로운 프레임워크
○ (지원영역) 학술적 기초연구와 산업 응용/경쟁력 연구가 겹치는 영역
○ (규모) NSF C-Accel Pilot 사업으로 ’19년 여름까지 50개 팀을 선정하여 9개월 간 팀별 백만 달러를 지원하고, 이후 일부팀을 선정하여 ’22년까지 오백만 달러 추가 지원 예정
2. 사업 특징
○ 기존 NSF 사업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점은 아래와 같음
① (기초연구 지원) 기본적으로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기초연구와의 연계성에 기반을 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고 다음의 사항을 함께 제시함
- 비학술 파트너의 참여를 통해 실무에 도움을 주고 사회적 편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초 연구를 지원하고, 이는 공공 자산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고위험/고수익 연구를 지원하는 것임
② (융합적 방식) 다른 분야 전문가들이 공통의 문제(연구)를 해결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긴밀한 통합 방식 및 파트너십 지향
③ (Big Idea 연계) NSF 10 Big Ideas와 연계하여 추진
- 성장하는 융합연구(Growing Convergence Research), 인간-기술 관계에 대한 미개척 영역에서의 일의 미래(Future of Work at the Human-Technology Frontier), 데이터 혁명의 힘(Harnessing the Data Revolution)
④ (참여주체) 산업계, 학계, 비영리 단체, 정부 기관 등의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팀에 의한 통합적 접근 방식
⑤ (RAISE* 매커니즘) RAISE는 학제 간 융합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NSF에 제출하는 제안 형식을 의미하며, RAISE 방식을 차용할 예정
* Research Advanced by Interdisciplinary Science and Engineering
- C-Accel의 연구 프로젝트 제안은 NSF의 전통적인 평가 매커니즘을 통해서는 인정받기 어려워 다양한 분야의 경계와 접점에 존재하는 연구 프로젝트 제안 평가를 위해 RAISE 매커니즘 활용
⑥ (결과물 강조) NSF C-Accel이 지향하는 성과는 유용한 제품 또는 유용한 도구로 더 발전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결과물*의 산출
* 프로토타입 디자인, 모델, 실물 크기 모형(mock-ups), 인공지능 혁신, 소프트웨어 도구 등
- 현실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실용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됨에 따라 명확한 최종 결과물(tangible end product)에 대한 강조
- DARPA 방식*을 차용한 과제 관리로 명확한 결과물(deliverable)과 방향성 제시, 설정된 미션 중심의 평가 등
* program managers가 명확한 마일스톤을 설정하고, 연구수행자에게 마일스톤 달성에 대한 책임을 묻은 방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