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개방형 바이오 IP 기술사업화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등록일2019-05-30
  • 조회수462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2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개방형 바이오 IP #기술사업#예비타당성조사
  • 첨부파일

 

 개방형 바이오 IP 기술사업화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목차]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제 1 절 사업 개요
1. 사업 개요
제 2 절 조사방법
1. 사업의 특징
2. 항목별 조사방법


제 2 장 기초자료 분석
제 1 절 개방형 혁신의 개념
1. 오픈 이노베이션
2.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
제 2 절 국내 바이오산업 및 바이오 연구개발 현황
1. 바이오산업의 분류
2. 국내 바이오산업 동향
3. 글로벌 바이오산업 동향
제 3 절 IP 및 기술사업화
1. 지식재산의 개념
2. 기술사업화
3. IP 기술사업화 관련 정책 동향


제 3 장 과학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과학기술 개발계획의 적절성
1. 기획과정의 적절성
2. 사업목표의 적절성
3. 구성 및 내용의 적절성
제 2 절 과학기술 개발 성공가능성
1. 기술추세 분석
2. 특허경쟁력 지수 분석
3. 기술수준 평가
제 3 절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1. 중복성 검토방향
2. 사업수준의 중복성
3. 과제수준의 중복성
4. 기능연계 기관 검토


제 4 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체제
1.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2. 사업 추진체제 및 추진의지
제 2 절 사업 추진상의 위험요인
1. 재원조달 가능성
2. 법?제도적 위험요인


제 5 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비용 추정
1. 총사업비 개요
2. 사업계획서의 비용 검토
3. 총사업비 및 총비용 추정
제 2 절 편익 추정
1. 사업계획서의 편익 검토
2. 편익 추정 결과
제 3 절 경제성 분석


제 6 장 종합분석 및 결론
제 1 절 AHP를 이용한 종합분석
1. AHP 기법을 활용한 종합분석의 개요
2. 종합평가 결과
제 2 절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 고 문 헌


부 록
1. 종합평가를 위한 AHP 설문지
2. 기술분류체계 및 검색식

 

[내용]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1. 사업 개요


가. 추진배경


□ 바이오산업은 소수의 핵심 IP로 시장독점 및 경제적 가치창출이 지속 가능한 분야로 최근 세계적으로 개방형 혁신이 가속화하고 있음


□ 글로벌 바이오 기업은 R&D 생산성 및 성공 가능성 제고를 위해 개방형 혁신을 강화하고 있으며, M&A 등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고 있어 IP 확보의 중요성이 확대됨


□ 중소?중견기업이 도입한 IP 기반의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고, 축적된 바이오 분야 특허 활용을 활성화하여 투자 ROI 개선이 필요함


나. 사업목표 및 전략


□ 사업목표


○ 비전 : 국가 바이오 혁신성장 주도로 바이오 산업 경쟁력 7위 달성
○ 사업목적 : 국내 바이오산업의 개방형 혁신을 위하여 외부에서 도입한 미활용된 우수 바이오 IP의 활용과 R&D 집중 지원을 통해 국내 바이오기업의 글로벌 제품화 및 기술이전 촉진
○ 사업목표 : 개방형 혁신 기반 바이오 IP고부가가치 창출로 바이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성과목표 : 우수 바이오 IP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으로 경제적 가치 24조 원 창출

 

□ 추진전략


○ (전략방향 1) [Promising] 시장가치 중심 IP 발굴 및 사업화
○ (전략방향 2) [Licence-in & out] 기초연구성과 기술거래를 통한 개발단계 진입촉진
○ (전략방향 3) [Unclosed] Lean & Jump Start를 통한 바이오 기업 기술사업화 속도 개선
○ (전략방향 4) [Scale-up] 국내 바이오산업 생태계 확대 및 고도화


다. 사업내용


□ 총사업비 : 7,956억 원(국고 : 5,029억 원 / 민자 : 2,927억 원)


□ 사업기간 : 2020년 ~ 2029년 (10년/4+3+3)


□ 사업추진체계


○ 총괄부처/전담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주관기관 : 바이오 분야 중소?중견기업 부설연구소, 비영리법인(대학, 출연연, 병원 등)
○ 참여기관 : 국내외 오리지날 IP 제공기관 등


□ 지원내용


○ (내역사업 1 : 혁신 IP기반 글로벌 제품화) 외부에서 도입한 미활용 IP를 기반으로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바이오 제품 개발
○ (내역사업 2 : 유망 IP발굴 기술이전) 기술이전을 목표로 외부 도입 또는 기확보한 IP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여 글로벌 제품화가 가능한 기업으로 기술이전
· Track 1 : 기술이전 받은 IP 기반 기술을 기업이 고도화하여 재기술이전
· Track 2 : 대학, 연구기관, 의료기관 등 비영리기관이 보유한 공공 IP 기반 기술을 고도화하여 기업에 기술이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