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8년도 대한민국 학술연구 하이라이트[이슈리포트 2019-4호]
- 등록일2019-06-05
- 조회수450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2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학술연구#키워드
- 첨부파일
[이슈리포트 2019-4호] 2018년도 대한민국 학술연구 하이라이트
[목차]
Ⅰ. 서론
1. 분석 목적
2. 분석 대상
3. 분석 방법
Ⅱ. 분야별 학술연구 하이라이트
1. 이공분야(전체)
2. 인문?사회분야(전체)
3. 이공분야(학문분야별)
(1) 개요
(2) 자연과학
(3) 생명과학
(4) 의약학
(5) 공학
(6) ICT?융합연구
4. 인문?사회분야(학술분야별)
(1) 개요
(2) 사회과학
(3) 인문학
(4) 예술체육학
Ⅲ. 결론
<참고> 이공분야 CRB분야별 키워드 리스트
<참고> 인문?사회분야 학문단별 키워드 순위
참고 문헌
[내용]
Ⅰ 서론
1 분석 목적
□ 최근 3년 간(2015-2017) 연구재단에 신청 및 선정된 기초연구과제 제안서의 키워드 분석을 통해 주목해야 할 핵심 키워드 도출
※ 기초연구과제 :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 인문사회 학술연구지원사업
□ 주목해야할 단어를 가장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2017년 기준, 빈출 상위 단어)와 급부상한 키워드(2015-2017년 간 순위 상승 상위 단어)로 분류하여 제시
□ 신청된 과제와 선정된 과제간의 비교, 대분류(학문분야*,학술분야**) 및 중분류별(CRB***) 제시를 통해 분야별 최신 동향을 파악
* 한국연구재단 지원 이공분야(학문단) : 자연과학, 생명과학, 의약학, 공학, ICT?융합연구 분야
** 한국연구재단 지원 인문?사회분야(학술연구분야분류) :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체육학 외 5개 분야
***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Chief Review Board) 분야분류로 이공분야의 경우 5개 학문분야에 25개 CRB 분류로 구성됨

2 분석 대상
□ 연구재단에 2015-2017년 동안 신청 및 선정된 기초연구과제 제안서

3 분석 방법
□ (분석대상) 연구제안서의 키워드
□ (분석툴) 한국어 자연어 처리 패키지(R 프로그램의 KoNLP)를 이용해 연구 제안서의 키워드를 추출
※ R : 통계?데이터 마이닝 등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 통계학, 공학, 사회학 등의 분야에서 핵심 분석 엔진으로 활용 중
□ (분석방법) 연도별 및 연구분야별로 추출된 단어 빈도 및 순위 산출을 통해 주목해야 할 중요 키워드 및 급부상 키워드 선정
○ 연구분야분류(총 35개 분류) : 이공분야 전체, 이공분야 대분류(학문단) 5종 및 중분류(CRB) 25종, 인문?사회분야 전체, 인문?사회분야 대분류(학술분야) 3종 상위 20개 단어를 제시
○ 분석 대상 연도 : 2015-2017년 연구제안서, 2015년과 2016년 자료는 2017년 대비 키워드의 급상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활용
○ 주요 유사 키워드의 경우, 단어 통합 후 키워드 뒤에 *를 붙여 표기함
※ 예시1) 마이크로RNA*: 마이크로RNA + 마이크로알엔에이 + 마이크로알앤에이 + microRNA
※ 예시2) 3D프린팅*: 3D프린팅 + 3차원프린팅 + 삼차원프린팅 + 3D프린터
※ 예시3) 머신러닝*: 머신러닝 + 기계학습
※ 예시4)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 IoT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