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제144호 과학기술&ICT 동향] 첨단산업 글로벌 리더십 현황 분석 등~
- 등록일2019-06-10
- 조회수416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6-1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
- 첨부파일
제144호 과학기술&ICT 동향
[목차]
PART 01 이슈 분석 : 5G 시대 국내 네트워크 장비 산업의 전략 방향
PART 0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 미국, 글로벌 고급 분석기술 인재 공급 전망
? 미국, 첨단산업 글로벌 리더십 현황 분석
? 일본, 환경·에너지 분야 사업 추진 현황 발표
? 일본, 레이와 시대 경제성장 전략 발표
? 일본, 대학 벤처 실태조사 분석
? 중국, 지역 지식재산권 전략 및 강국건설 업무요점 발표
? 중국, 글로벌 도시 과학기술 혁신 이슈 조사
? 독일, 미래 전력시장 원자력 발전 전망
2. ICT 30
? 미국, 국가 안보에 反하는 해외 기업과 거래 금지…화웨이 정조준
? 미·중 무역분쟁, 추가 관세 부과 등 새로운 국면으로 재점화
? 일본, IT분야 투자 규제 강화…기술 유출·안보 위협에 대비
? 중국, 첨단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스마트시티 건설 가속화
? AI 반도체 시장을 겨냥한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 활기
? 도요타·파나소닉, 스마트시티 구현 위해 협력 체결
PART 0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PART 04 주요 통계
[내용]
PART 01 이슈 분석 : 5G 시대 국내 네트워크 장비 산업의 전략 방향
① 5G 시대 개막, 초반 격전지로 네트워크 장비 부상
□ 네트워크 장비는 4차 산업혁명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
○ 네트워크 장비는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 요소
- 일반적으로 통신서비스 산업에서는 사업자 선정과 주파수 경매가 진행되면, 네트워크 구축/투자가 이루어지고, 이후 서비스 및 관련 시장이 형성
○ 네트워크 인프라는 미래 혁신 성장의 필요조건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는 ‘연결’과 ‘융합’이며, 5G 서비스 상용화로 4차 산업혁명 실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
□ 최근 네트워크 장비가 美·中무역전쟁의 핵심 쟁점으로 부각
○ 2018년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관행에 대한 미국의 지적을 시작으로, 양국은 고율 관세 등 보복성 통상조치를 주고받으며 무역전쟁을 시작했으며, 이후 양국간 갈등의 초점은 ‘무역 불균형 해소’에서 ‘미래 기술 주도권 경쟁’으로 전환
○ 미 중 무역전쟁의 본질은 미래 기술 패권 경쟁으로, 특히 중국을 대표하는 화웨이·ZTE 등 ICT 기업들을 대상으로 미국의 공세가 최근 강화
- 미국은 ‘중국 제조 2025’ 등을 통해 5G를 비롯한 세계 하이테크 산업을 선도하고자 하는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
- 트럼프 美대통령은 백악관 연설을 통해 “5G 경주는 반드시 미국이 이겨야만 하는 경주이며, 다른 나라가 미국을 앞지르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강조(2019.4.14.)
□ 5G를 계기로 국내 네트워크 장비 산업 도약 기대
○ 5G 장비 세계 시장 점유율 20%를 목표로 하는 삼성전자
- 삼성전자는 LTE 장비 시장에서 한 자리 수에 머물고 있는 시장 점유율을 5G 장비에서는 2020년 20%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천명
- 시장조사회사 IHS마킷은 2018년 4분기 삼성전자의 5G 장비 시장 점유율이 21%로 집계되어, 17%를 기록한 화웨이를 앞섰다고 분석
※ 4Q18 5G 장비 점유율 : 에릭슨(24%), 삼성(21%), 노키아(20%), 화웨이(17%)
- 삼성전자는 5G 통신칩부터 단말기, 장비까지 모두 제공 가능하고, 특히 고주파(mmWave) 분야 장비 경쟁력이 경쟁사보다 우수하다는 평가
○ 국내 중소 중견 기업들도 해외 진출 확대 등 도약을 준비
- 5G와 기가인터넷 시대 개막은 국내 네트워크 장비 업계가 한 단계 도약을 한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
- 비록 국내 네트워크 장비 산업 생태계가 대기업의 시장 철수로 축소되고 는 추세에 있으나, 연매출 1,000억 원 이상 중견 기업들도 점차 증가
※ 연매출 1천억원 클럽 : 다산네트웍스, 쏠리드, 에이스테크, KMW, HFR, 유비쿼스 등
② 네트워크 장비 산업 특성과 현황
□ 산업 특성 #1) 높은 기술집약도와 시장집중도
○ 네트워크 장비 산업은 대표적인 기술집약적 지식 산업
- 2017년 기준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3사의 ‘R&D/매출액 비중’을 살펴보면, 키아는 21.0%, 에릭슨은 17.3%, 화웨이는 14.9%를 각각 기록
- 반도체 기업이지만 사실상 통신 분야로 분류되는 퀄컴과 브로드컴까지 포함한다면, 세계 IT 기업 중 ‘R&D/매출액 비중’ 상위 10대 기업 중 5곳이 네트워크 장비 관련 기업으로 조사
※ R&D/매출액 비중 상위 10대 기업 : 퀄컴(25%), 노키아(21%), 인텔(21%), 페이스북(19%), 로드컴(18%), 에릭슨(17%), 오라클(16%), 구글(15%), 화웨이(15%), 세일즈포스닷컴(15%)
○ 타 ICT 하드웨어 산업 대비 월등히 높은 시장집중도
- 기술격차와 지적재산권(특허)은 기존 업체의 경쟁력이자, 신규 업체의 진입을 로막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해, 소수 업체가 시장을 과점
※ 2017년 이동통신 장비 산업의 CR3는 73%로 상위 3대 업체가 시장의 3/4을 차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