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지속가능한 미래보건의료정책과 의료기술평가의 활용
- 등록일2019-06-20
- 조회수445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NECA#한국보건의료연구원#가치기반 보건의료
- 첨부파일
지속가능한 미래보건의료정책과 의료기술평가의 활용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8년 연례학술회의 성과보고-
[목차]
요약문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Ⅱ. NECA 연례학술회의
1. NECA 연례학술회의 개요
2. NECA 연례학술회의 연혁
Ⅲ. HTAsiaLink Annual Conference
1. HTAsiaLink Annual Conference 개요
2. HTAsiaLink Annual Conference 연혁
Ⅳ. 연구방법
1. NECA 연례학술회의 기획
2. 만족도 조사
Ⅴ. 연구결과
1. NECA 연례학술회의 개최
2. 만족도 조사 결과
3. 후속 조치
Ⅵ. <2019 의료기술평가 주간> 기획
1. NECA 개원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2. 2019 HTAsialink Annual Conference
Ⅶ. 고찰 및 결론
Ⅷ. 참고문헌
[내용]
? 서 론
한국보건의료연구원(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이하 NECA)은 정책환경 및 사회적 요구에 따른 보건의료분야의 주요 의제를 발굴하고 의료기술평가(Health Technology Assessment, 이하 HTA)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매년 연례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HTAsiaLink 사무국으로서 아태지역 HTA의 리더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 정책환경 및 국제사회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원 9주년 기념 2018년 NECA 연례학술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주제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의료기술평가: 가치기반 보건의료의 실현’이었다. 보건복지부 및 유관기관 소속 전문가와 국내외 관련 분야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가 참여하였고, 1부, 2부로 구분하여 각 세션의 소주제와 관련된 해외 전문가들이 연자로 참여하여 해외사례를 공유하고, 우리나라의 현주소와 비교하였다.
2018년 5월,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린 제7회 HTAsiaLink Annual Conference는 ‘Testing Treatment’를 주제로 해외 유수의 HTA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2019년 제8회 HTAsiaLink Annual Conference를 서울에서 개최하기 위하여 전차대회에 참석하여 홍보 부스를 운영하고 NECA 브로셔, NHCR 책자 등을 배포하며 ‘NEXT HOST’로서의 홍보활동을 진행하였다.
? 연구방법
Ⅰ. NECA 연례학술회의 기획
2017년 하반기부터 2018년 연례학술회의 사전기획을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진 회의를 통해 2017년 연례학술회의 진행 과정을 고찰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2018년 연례학술회의 기획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보건의료현안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주제후보군을 발굴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기관의 중장기 전략(‘17~’19)에 따라 연도별 추진계획에 부합하도록 영역별로 구분한 주요사업(보건의료근거연구, 신의료기술평가, 국민건강임상연구)을 중심으로 국내외 현안과 정책적 이슈 등을 고려하여 시의적절한 의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적시적인 주제 선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보건의료전문가, 학계, 의료계, 시민단체, 산업계, 정부 및 유관기관 등)를 고려한 맞춤형 세션을 구성하여 소통과 협력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지속적·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격적인 연례학술회의 기획은 2018년 1월부터 진행하여 연구진 회의와 부서장들이 참여하는 기관운영회의를 통해 최종 주제를 확정하고, 이에 맞는 세부 프로그램을 완성하였으며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발표자와 토론자를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표 그룹을 설정하여 적절한 홍보전략을 수립하였다.
Ⅱ. 만족도 조사
연례학술회의 진행에 있어 개선점을 파악하고 차년도 연례학술회의에 반영하기 위해 참석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문항은 총 8문항으로 구성하고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관심주제 수요조사와 건의사항 등 의견을 조사하기 위한 항목을 별도로 구성하였다.
? 연구결과
Ⅰ. NECA 연례학술회의 개최
1.1.1. NECA 내부 워크숍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책환경 변화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 일본의 보장성 강화를 위한 의료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호주의 급여 철회 경험을 알아보고자 각 국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내부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내부 워크숍은 3월 22일(목)에 오후 3시부터 4시 30분까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되었다. 일본의 최근 의료제도 개혁(「지역포괄케어시스템」과 「지역의료구상」 제도)에 대한 논쟁과 설명에 대해 일본 니혼 후쿠시 대학의 Niki Ryu 교수가, 호주의 의료기술평가와 의료기술 급여 철회 경험에 대해 호주 보건부의 Mary Warner 부서장이 발표하였다. 참석자는 대부분 NECA 임직원이었고 외부에서는 이상일 교수가 참석하였다.
1.1.2. NECA 연례학술회의 개최
2018년 제6차 연례학술회의에서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라는 정부정책에 따라 의료기술평가를 활용한 가치기반 보건의료 실현방안에 대해 국내외 각계 전문가들의 논의가 있었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의료기술평가: 가치기반 보건의료의 실현”을 주제로 의료기술평가의 관점에서 보장성 강화 등 의료 공공성과 형평성, 접근성과 혁신성 제고를 위하여 해외 선험국의 경험을 공유하고 가치기반 보건의료의 실현을 위한 미래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3월 23일(금)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50분까지 코엑스 컨퍼런스룸 401호에서 개최되었다. 행사는 1부, 2부로 나뉘었고 2부는 2개의 세션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주요 참여자는 좌장 3명, 발표자 8명, 패널 14명으로 보건복지부, 임상전문가, 유관기관 전문가, 산업계 전문가, 소비자단체 대표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참석인원은 외부 참석자 345명, 내부 직원 114명으로 총 459명이었다.
Ⅱ. 만족도 조사 결과
연례학술회의의 보완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만족도 조사 결과, 총 51명이 응답하였으며, 8개 문항 전체 평균 점수는 4.4점이었다. 2017년 연례학술회의와 비교하여 NECA의 역할 및 NECA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점수는 각각 4.4, 4.6점으로 동일하였으며, 환경만족도는 4.3점에서 4.4점으로 0.1점 상승하였다. 평균 점수가 4.39점으로 가장 낮았던 문항은 NECA 역할의 이해, 행사의 기능, 환경 만족도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이유는 NECA에 대한 발표보다 현재 보건의료 현안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었기 때문에 NECA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부족했을 수 있으며, 큰 규모의 행사장으로 이동과 안내와 관련한 불편을 겪었을 수 있었던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음 연례학술회의 개최 시 주제와 장소 선정에 해당 내용을 고려해야 하겠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