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경기도 여성기업 실태조사 연구
- 등록일2019-09-18
- 조회수396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7-30
-
출처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원문링크
- 첨부파일
경기도 여성기업 실태조사 연구
제1장 연구 개요
◆여성기업 정책의 필요성
? 여성기업은 고용창출 능력과 고용유지 능력이 높기 때문에 미래 지역 경제 성장의 주역으로 주목
- 여성인력의 경제 참여를 확대하고, 소기업 비중 및 업종 다양성이 높은 여성 기업을 육성함으로써 경제 성장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그러나 여성기업은 인구사회학적·심리학적으로 경제 활동에 있어 불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도적 보완을 통해 여성기업을 지원할 필요성 상존
- 여성기업의 장점을 강화하고 특화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참여 기회를 적극 확대하는 것이 필요
여성기업 정책의 필요성
자료 :Metcalfe, 1985; Alen & Truman, 193; Brush, 198; 주희진, 200; 김명환 외, 2013 참고
◆여성기업에 대한 기존 연구 검토
? 여성기업에 관한 실증 연구는 1) 여성기업의 경영성과 결정 요인 연구와, 2) 여성기업과 남성기업과의 비교 연구로 분류 가능
1) 여성기업의 성과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관점의 설명 변수를 기초로 여성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결정요인을 확인하는 실증 연구가 중심(김명환 외, 2013)
- Brush(198)는 여성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여성이 창업에 동원할 수 있는 자본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과 근본적 원인으로 여성기업이 금융 서비스 활용에 불리하기 때문이라는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
- 여성기업은 창업과 이후의 기업 성장을 위해 공공지원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여성기업의 기술 창업 확대와 금융 접근성의 개선을 위해 지원기관의 선제적인 지원이 필요(Dawe et al., 2013)
2) 여성기업과 남성기업의 비교 연구는 성별 특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실증 연구에 해당
- 여성기업은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향(Parota et al., 2013)이 남성기업보다 높고, 기업 성장 단계에 있어 초기 단계의 성장이 불리(박종복, 2018;, 김종숙 외, 2018)한 것으로 분석
- 기업의 초기 성장에는 외부 환경, 동종 업계의 네트워크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경제 전반에 여성기업 정책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교류협력을 위한 기업 네트워크 등을 확대함으로써 여성친화적 경영 환경을 조성할 필요(주희진, 200;, 김영옥 외, 206;, 김명환, 2013)
◆연구 방향
? (목적) 경기도 여성기업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창업과 경제활동을 촉진하고, 여성기업을 미래 지역 경제 발전의 주역으로 육성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에 기여
? (대상) 경기도에 공장이나 사업장을 소재한 제조업 및 지식기반서비스업 분야의 “여성이 소유하고 경영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판로·마케팅, 기술개발, 4차 산업혁명 대응력 강화 등을 위한 정책을 검토
*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정하고 있는 여성기업
제2장 국내외 여성기업 정책동향
◆주요국 정책 동향
? 세계적으로 여성기업의 사회적 및 경제적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주요국은 다양한 여성기업 지원 정책을 추진
주요국의 여성기업 정책동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