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노벨과학상 종합분석 보고서
- 등록일2019-10-15
- 조회수486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10-04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노벨과학상#노벨 위원회#노벨상 심사 과정
- 첨부파일
노벨과학상 종합분석 보고서
< 목 차 >
Ⅰ 노벨상의 개요
Ⅱ 노벨과학상 수상자 통계 및 트렌드
Ⅲ 노벨과학상 수상 주요 연구주제
Ⅳ 노벨과학상 수상 이전의 사전 징후
Ⅴ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연구업적
Ⅵ 노벨과학상 수상자 업적에 근접하는 한국 저명학자 탐색
Ⅶ 참고자료
|자료 1| 부문별 노벨과학상 수상자 현황
|자료 2| 노벨과학상 수상자 프로필
---------------------------------------------------------------
Ⅰ 노벨상의 개요
■제정 경위
○스웨덴의 다이너마이트 발명가인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매해 인류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1901년부터 물리학, 화학, 생리학 및 의학, 문학, 평화 다섯 부문으로 구분하여 수여되어 왔으며, 1969년부터 경제학 부문이 스웨덴 리크스방크(Sveriges Riksbank: Sweden's central bank)에 의해 새로 추가되었다.
■선정 기관
○노벨상 수상자 선정기관은 부문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
○분야별 선정기관은 내부에 실무 조직인 노벨위원회(Nobel Committee)를운영하고 있으며, 노벨 재단(Nobel Foundation)은 기금 등의 관리업무만 수행할 뿐 선정과정에는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
<표Ⅰ-1 노벨상 부문별 수상자 선정기관>

물리, 화학, 경제부문의 노벨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

카롤린스카의학연구소
(The Nobel Assmbly at Karolinska Institutet)>
■노벨 위원회(The Nobel Committee)
○노벨위원회는 수상 후보자 추천의뢰 → 추천서 접수 → 전문가 심사 요청 → 최종 후보자 추천 등 수상자 선정 과정의 모든 실무를 관장하는 조직이다.
○임기는 3년이며 선정과정에서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받는다.
○노벨 위원회 구성(2018년 기준)은 각 부문별로 아래와 같다.
<표 Ⅰ-2 노벨위원회 구성원>

■심사 및 선정 과정
○노벨 재단의 정관에 의거하여 후보를 추천하는 자격자가 각 노벨위원회 및시상위원회에 추천한다.
○후보자 추천의뢰 서한은 전년도 9월에 송부하고 추천서는 당해 1월에 접수한다.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 총회에서 다수결 투표로 결정한다.
○노벨상은 최대 3명까지 공동 수상할 수 있으나, 그 외 차점자는 아무리자격이 충분해도 수상할 수 없다.
○접수된 후보자 명단은 절대로 외부에 공개하지 않으며, 수상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은 불허한다.
○접수된 추천서와 같은 관련 자료는 수상자 발표 후 50년 후에 공개한다.

<표 Ⅰ-3 노벨과학상 수상자 선정 과정>

■시상
○노벨과학상 수상자는 매년 10월 첫 주에 선정투표가 끝나면 바로 발표한다.
(2019년 생리의학상 10월7일, 물리학상 10월8일, 화학상 10월9일 예정)
○노벨 사망일(12.10)에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스웨덴 국왕이 시상하며, ‘블루 홀 (Blue Hall)’이라 불리는 스톡홀름 시청 연회장에서 축하 연회가 개최된다.
○매해 12월 6일~14일을 노벨 주간으로 지정하여 수상자들의 강연과 회견이 이루어지며, 내용들은 다음해에 책으로 출간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